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동양의 수비학과 태극기

수비학은 숫자나 기호를 가지고 거기에 담긴 의미나 비밀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우리나라는 태극기를 가지고 국가를 표현한다. 그런데, 왜 대한민국이 출발하면서 태극기를 사용하게 되었는가?
태극기에는 어떤 상징이 담겨 있는 것일까?
군부대마다 그 부대를 상징하는 마크가 있다.
어떤 단체나 조직마다 뱃지 혹은 문양이 있다.
마찬가지로 상징적이면서도 그 의미를 잘 표현해 주는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태극기에는 먼저는 동양사상의 총체가 담겨 있다.

인건의 삶은 과학적으로 볼 때 음과 양, 자연 곧 우주의 조화이다. 지구에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우주의 역할은 무엇인가?
밤과 낮이다.
사람이나 짐승, 자연의 식물들은 낮에 활동하고 밤에 쉰다. 잠을 자는 동안에 자란다. 낮에는 에너지를 태우며, 밤에는 비축하고 확장시킨다.
인간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요소이다.
또 생존과 직결되는 것은 무엇이 있는가?
하늘에는 달과 별과 태양이 있다.
천체가 움직이며 사계절을 만들고 지구는 자전과 공전을 통해 천체와 조화를 이룬다.
그 천체가 있는 곳을 《하늘》이라 한다. 우주라고도 한다.
또한 모든 존재하는 것은 일정한 거주 공간을 가지고 있다. 인간과 동식물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땅에 산다.
위치를 가리키고, 숫자로 의미를 담고, 인간의 삶 속에서 자주 쓰이는 것들이다.
하늘을 뜻하는 것은 3이다. 완전 수이다.
한자로는 乾(마를/하늘 건)이다.
'마르다', '말리다', '하늘', '건(乾, 팔괘의 하나)' 등
땅은 흙(土)이 펴진(申) 곳은?
흙이 ‘펴진’ 즉 ‘펼쳐진’ 곳은 ‘땅(地)’이지요.
일반적으로 한자로는  土(흙 토) + 也(어조사 야) 자를 합쳐서 만든 형성자이다.
역지사지 (易地思之), 복지부동 (伏地不動)
그런데 하늘 건과 대조되는 단어로 땅은 흙(土)이 펼쳐놓은 것을 의미하는 펼 신(申)이 합쳐져 땅 곤(坤)을 쓴다. '땅'을 나타낼 때 쓰인다. '곤괘(坤卦, 8괘의 하나)' 등을 뜻한다.
태극기에 좌우 네 방향에 효를 가지고 숫자를 나타낸다.
건이감곤, 이 넷은 하늘 건(乾, ☰)은 , 불 리(離, ☲), 물 감(坎, ☵), 땅 곤(坤, ☷)은 각각마다 상징이 있다.
숫자로는 3456이고, 방향으로는 동남북서, 계절로는 춘추동하》하늘, 땅, 불과 물 등을 4괘(四卦)으로 표현한 것이다.
  • 坎은 '구덩이 감' '구덩이, 웅덩이' 등
  • 離는 '떠날 리', '떠나다', '떼어놓다', '떨어지다'
이 같은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 태극기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