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는 종교인가 철학인가
인도의 종교를 비교해 보면 불교가 보입니다.
불교는 인간존재에 대해서는 유물론입장입니다.
유물론이라면 영혼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기에 인간의 고통을 설명할 길이 없습니다.
유물론이기에 윤회를 설명할 필요가 없는 것이지요.
다군다나 무아론 입장이니 고통을 설명할 길이 없습니다.
고통을 설명하려면 영혼을 부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영혼에 대해서는 애매한 입장을 취합니다.
생명(영혼)은 곧 석가는 "사람이 죽으면 영혼은 풍(바람)이 된다"라고 했습니다.
사실 고타마 싯탈타는 영혼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인간에게 영혼을 인정하지 않고, 무아라고 보았습니다.
그런데, 그는 제자가 묻는 말에 《풍 : 바람》이라고 대답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그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불교는 종교가 아니라 인식론 곧 철학이기 때문입니다.
영혼에 대해 설명할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그래서 석가는 영혼을 부정하는 무아 입장이지만,
윤회 또한 긍정도 부정도 아니합니다.
이 것마저 부정하면 연기설을 설명할 방법이 없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불교에서는 영혼과 윤회를 설명하면 안 되는 금기영역입니다.
석가모니 당시의 인도의 종교들
인도의 4대 종교 비교
구분 힌두교 자이나교 불 교 인도유물론
신 관 유신론 무신론 무신론 무신론
인간관 유아론 유아론 무아론 무아론
내세관 윤회론 윤회론 반윤회 반윤회
신비주의 신과 합일 없음 없음
금욕 고행. 고행. 금욕 쾌락
구원관 업제거/ 업제거/수행과 깨달음 / 없음
제사. 수행
불교는 인도의 유물론 사상과 저이나교 사이의 중도를 취하려 한 것으로 보입니다.
자이나교와 매우 흡사하나 윤회에 있어서는 인도유물론을 취하였습니다.
그래서 불교는 종교로 보기보다는 <과학철학>으로 분류하는 것이 옳다고 봅니다.
과학적 철학이란 영혼의 영역에 대해서는 불가지론이나 무신론을 취합니다.
과학은 철저히 이성이 파악한 것을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학문이기 때문이지요.
불교는 <영혼의 부재 : 무아론>를 말합니다.
불교는 영혼의 존재나 불멸을 말하지 않습니다.
그러니 윤회를 말하기가 어렵습니다.
불교는 사물에 항상성(불변함)이 없기 때문에 그것을 받아들이는 감관(오감/오온개공) 작용에 더욱 관심을 쏟을 수밖에 없습니다.
*m.newspower.co.kr="" 39263"="">http://m.newspower.co.kr/39263"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 http://m.newspower.co.kr/39263"> 참고. http://m.newspower.co.kr/39263
유일하게 다른 주장
불교는 다른 종교들의 유신론과 유아론을 부정합니다. 자이나교는 윤회를 인정하기에 윤회에서 벗어나는 방도로서 <실천적 행위: 고행>의 중요성을 부각하지만, 불교는 어떤 입장일까요?
불교는 연기를 말합니다. 즉, 윤회를 거부하는 입장으로 이는 신에 의해 결정된 윤회가 아닌 <인간행위의 윤리적 인과성>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연기론(緣起, pratītyasamutpāda) : 연기(緣起)는 인연생기(因緣生起) 즉 인(因: 직접적 원인)과 연(緣: 간접적 원인)에 의지하여 생겨남 또는 인연(因緣: 통칭하여, 원인) 따라 생겨남의 준말이다. 연기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생기는 상관관계의 원리이다. 인연이란 조건이나 원인을 가리키는 말인데, 인(因)은「직접적인 원인」을, 연(緣)은「간접적인 원인」을 말한다.
인도 종교 가운데 사유(思惟) 가운데 가장 윤리적인 학파는 자이나교와 불교를 꼽을 수 있습니다.
자이나교도에게 윤회는 신이 개입하지 않는 자연의 진정한 모습으로, 일종의 자연법칙과도 유사하다. 윤회라는 영혼의 현상이 있고 내가 쌓은 업에 의해 윤회가 결정된다고 봅니다.
불교, 자이나교와 인도유물론 사이의 중도
그런데 불교는 영혼을 인정하지도 부정하지도 않기 때문에 윤회조차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불교는 영혼의 불멸을 믿지도 않으며, 세계가 물질적 원자(유물론)로 이루어져 있다고도 믿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윤회가 신에 의해 주어진다고 믿지도 않았습니다.
불교는 《영혼을 부정》하면서도 불변하는 물질적인 실체도 긍정하지도 않았습니다.
자이나교와 불교, 인도유물론의 공통점과 차이점
1) 신의 존재 : 부정하는 입장인《무신론》같습니다.
그러나 괴로움과 번뇌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고행과 금욕으로 벗어나기 위해 거룩한 삶》은 자이나과요 유사합니다.
2) 인간관에서 자이나교는 유아론이지만, 불교는 무아론을 취합니다.
3) 사후세계에 대해 자이나교는 윤회와 사후세계를 인정하지만, 불교는 윤회와 사후세계를 인정하지 않습니다.
이상에서 살펴보듯이 석가모니는 당시 힌두교에서 말하는 아리안족에 의해 전파되고 정착시킨 힌두교에는 최고신들인 브라마, 시바, 비슈(삼신)에 의해 인간의 윤명이 결정된다는 주장을 거부하였습니다. 또한 자이나교에서 말하는 유아(인간관), 윤회를 거부하였습니다.
불교는 유물사관에 입각한 철학
불교는 인도의 유물론에서 《쾌락》을《금욕》으로 대치하면 유물론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