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언1장 1 다윗의 아들 이스라엘 왕 솔로몬의 잠언이라 2 이는 <지혜와 훈계>를 알게 하며 명철의 말씀을 깨닫게 하며 3 지혜롭게, 공의롭게, 정의롭게, 정직하게 행할 일에 대하여 훈계를 받게 하며 4 어리석은 자를 슬기롭게 하며 젊은 자에게 《지식과 근신함》을 주기 위한 것이니 5 지혜 있는 자는 듣고 학식이 더할 것이요 명철한 자는 지략을 얻을 것이라 6 잠언과 비유와 지혜 있는 자의 말과 그 오묘한 말을 깨달으리라 7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거늘 미련한 자는 <지혜와 훈계>를 멸시하느니라.
지식(知識)의 "知"
아는 것이 많다고 지혜가 있는 것은 아니다.
지식은 일반적으로 우리는 전수해 주는 것을 학습과 공부, 수련의 경험을 통해 습득한다.
지식(知識, Knowledge)을 정의해 보면, 일반적 상황에서 평가된 자료들이 축척된 것을 말하는데많은 의미를 내포하는 광범위한 용어이다. 어떤 분야의 대상을 연구하여 얻은 데이터(Data)나 정보(Information), 혹은 사실(Facts)들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나 이해로 "정보를 보다 체계화하고 개념화한 것"을 교육, 학습, 숙련 등을 통해 습득한 것을 사람들이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그러고 보면 지식은 어떤 분야에 숙련된 기술이나 축척된 정보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지(知)라는 것은 고대사회에 무언가를 안다(知)는 것은 "생존을 위해 필요한 숙련된 기술로 《사냥이나 싸움, 전쟁》에 필요한 경험을 전수"하는 것이었다.
矢(화살 시)와 말(口, 입구)로 전수해 주는 것이다.
화살이 어떻게 정확히 과녘을 맞추는지, 혹은 과녁의 어느 부분을 맞추었는지 정확하게 알려주는 것이다.
식(識)은 言(말씀, 말 언)과 戠(새길 시)가 합쳐서 만들어진 글자이다. 말(言)하는 것을 새길(戠) 수 있다는 말은 글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배운 것, 익힌 것을 '적다, 기록하다(記)'는 의미이다.
종합해 보면 지식은 문자나 표기로 기록해 놓은 것을 습득하여 알게 된 사실이나 정보를 의미한다.
여기에 하나님을 아는 《신지식》은 얻는 자에게는
7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거늘 미련한 자는 <지혜와 훈계>를 멸시하느니라.
그것을 얻으면, 잠언2장 4 은을 구하는 것 같이 그것을 구하며 감추어진 보배를 찾는 것 같이 그것을 찾으면 5 여호와 경외하기를 깨달으며 하나님을 알게 되리니 6 대저 여호와는 지혜를 주시며 지식과 명철을 그 입에서 내심이며 7 그는 정직한 자를 위하여 완전한 지혜를 예비하시며 행실이 온전한 자에게 방패가 되시나니 8 대저 그는 정의의 길을 보호하시며 그의 성도들의 길을 보전하려 하심이니라
지혜(智慧)의 '지智'
지혜 지(智), 글자에서 알 수 있듯이 알 지(知)자에 해(日)가 붙어 있어 밝음을 나타낸다. 이는 이미 알고 있는 것들을 해같이 두루 밝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지혜(Wisdom)는 지식을 통해 깨달은 원리를 계속해서 응용하고 확장시켜 나가는 것이다.
슬기로울 혜(慧), 그같이 알고 있는 원리를 '슬기로움'을 가지고 사용하는 것이다.
慧(지혜 혜), 글자는 彗(빗자루 혜, 날카로울 혜)+心(마음 심)의 형성자(形聲字)이다.
빗자루는 산란할 개(丯)인데 이는 산란스럽게 많다. 많아서 예쁘다(예쁠 봉), 풍채가 있다(풍채 풍)는 의미로 쓰인다. 거기에 손과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것이니, 이는 금상첨화가 아닌가.
손 씀씀이와 마음 씀씀이가 예쁘꼬 또 예쁜 것이 바로 '지혜'라는 뜻의 한자가 된 것이다.
이같이 혜(慧)자는 윗부분이 빗자루의 상형이고, 그 밑에 손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지혜 혜는 긍정적으로는 '총명하다, 사리에 밝다, 상쾌하다, 시원스럽다, 슬기, 능력, 지혜'로 쓰이고, 이것이 나쁜 부정적 의미로 쓰이면 '교활하다, 간교하다'는 의미가 된다. 무엇이든 양날의 칼과 같다.
그러므로 지식은 바탕이며, 지혜는 활용이니 둘은 피를 나눈 형제나 사촌지간이라 할 수 있다.
종합해 보면 지혜는 이미 알고 있는 것을 응용하여 확장하며 새로운 것을 창출해 내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지혜는 이미 알고 있는 것들을 해같잋빛나개 두루 펼쳐내며, 손 재주와 마음의 생각으로 많은 것들을 예쁘게 솟아오르고 가득차게 만드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같이 "지혜"는 문제해결 능력을 의미한다.
잠언1장20, "지혜가 길거리에서 부르며 광장에서 소리를 높이며" 2:20, "지혜가 너를 선한 자의 길로 행하게 하며 또 의인의 길을 지키게 하리니"
히브리어원전(잠언2:2~3) “비나”를 '지식', “호크마”는 '지혜', “테부나”는 '명철'로 번역했다.
지식(知識), 지혜(智慧), 명철(明哲)의 차이
• 지식(비나)은 이해나 총명 = 아는 능력(정보)
• 지혜(호크마)는 숙련, 지식, 다양한 학식 = 행하는 능력(문제 해결하는 힘)
• 명철(테부나)은 지식, 지각, 능숙함 = 분별하는 능력(진리와 거짓을 분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