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성경에 나타난 환상에 대하여

성경에서 '환상(幻想)'

계시는 하나님께서  하나님 자신과 전달하고자 하는 뜻을 알리실 때에는 모세 이전과 이후로 나뉩니다. 모세 이전에는 "마하제" 아브라함과 모세에게만 하나님이 주시는 계시로 쓰였습니다(창15:1; 민24:4, 16). 눈으로 목격하는 것, 직접 보는 것을 의미하고,  이후에는 하존이라는 단어로 썼는데, 이는 환상으로 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은 당신의 모습을 보이실 때 이처럼 환상으로 통해 임재와 영광으로 보이셔서 당신의 뜻을 깨닫게 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 공적으로 말씀하실 때 그 말씀은 다바르(דָּבַר)입니다. 그 말씀을 받는 입장에서 전달할 때에는 아마르(עָבַר)를 썼습니다.
코 아마르 아도나이(קומר אדונאי), "주께서 말씀하시니" 혹은 네움 아도나이(נְאֻם־יְהוָה), "주의 말씀이라"고 성경은 말하고 있습니다.
성경에 예언자(預言者, prophet)는 "하나님의 말씀을 맡아서 전하는 전달자"입니다.
그들은 사사로이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그들의 가르침을 전하지 않았습니다.
성경의 저자들은 나레이션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부각시켰습니다.
예를들면  “아이 사무엘이 엘리 앞에서 여호와를 섬길 때에는 여호와의 말씀이 희귀하여 이상이 흔히 보이지 않았더라.”(삼상 3:1-9).
이러한 표현은 나레이션입니다. 사무엘이 말씀을 받게 되었을 때 상황을 독자들에게 알려 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독자(청자)들이 상황을 이해하고, 하나님의 말씀하실 것에 대한 기대를 한층 높였던 것이지요.

선지자, 하나님의 대변자(말씀의 전달자)

하나님의 대변자가 되어 하나님의 뜻을 인간에게 전달하는 자를 가리키고 있습니다(신 18:18).
  '메세지를 위임 받은 사람', '부르는 자, 또는 선포하는 자', 수동적인 의미로는 '부름을 받은 자'를 뜻합니다.
계시는 하나님이 보여주신는 것이며, 그 계시로 보여주시는 환상을 보는 것은 특정된 사람, 계시의 전달자들입니다.
하나님이 부르시는 선지자들은 '하나님과 그의 백성, 이스라엘 민족과의 중개인(仲介人)으로 하나님을 신뢰(信賴)하도록 설교하고, 또 하나님의 정의를 실현하도록 권하며, 사람들이 저지르는 죄를 신랄하게 지적하여 참회의 결단을 촉구'하기도 하였습니다.

환상(이상)을 가리키는 히브리어 낱말들

"6 이르시되 내 말을 들으라 너희 중에 선지자가 있으면 나 여호와가 환상으로 나를 그에게 알리기도 하고 꿈으로 그와 말하기도 하거니와 7 내 종 모세와는 그렇지 아니하니 그는 내 온 집에 충성함이라 8 그와는 내가 대면하여 명백히 말하고 은밀한 말로 하지 아니하며 그는 또 여호와의 형상을 보거늘 너희가 어찌하여 내 종 모세 비방하기를 두려워하지 아니하느냐"(민12:6~8).
여기서 쓰인 '환상'은 '마르아' (מַרְאָה)를 번역한 것인데,
동사로 ‘보다’(라아)에서 파생한 명사입니다. 이는 "어떤 현상으로 나타난 광경, 그 자체"를 가리킵니다.
2) "하존"은 대체로 vision이라고 번역
하존(חָזוֹן) : ‘환상, 어떤 광경’(묵시)으로 전해주시는 말씀(보여주시기 보다 들려 주신 경우가 많았음)으로 확신을 주시려고 보조적 수단으로 시용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계시해 주셨는데, ‘비전’은 시각(視覺), 즉 눈으로 보여주셨는데, 오늘날 신자들이 궁금해 하는 개인적인 환상과는 다릅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이 땅에 하나님을 증거하는 선지자와 사도들이기에 그들에게만 주어진 것입니다.
여기에서 초점은 하나님이 왜 보여 주셨느냐입니가. 하나님의 뜻을 전달하기 위해서입니다.
하나님께서 세상에 알려주려고 하시는 계시 자체(啓示, revelation)가 중요한 것이지요.
그 계시는 선지자와 사도들에게서만 있던 것으로 그 환상을 통한 계시를 기록하여 남김으로서 완성되고 종료되었습니다(cf. 고전 13:9- 10)
3) 이처럼 암7:12, 아모스는 '호제', '나비'를 사영했고, 이사야 선지자도 사29:10 '호제'와 '나비'를 결부시켰고, 대상29:29에는 '나비', '호제', '로에' 세 단어가 함께 언급하였는데 모두 같은 뜻으로 쓰였습니다.
“다윗 왕의 시종 행적이 선견자 사무엘의 글과 선지자 나단의 글과 선견자 갓의 글에 다 기록되고”
“וְדִבְרֵי דָּוִיד הַמֶּלֶךְ הָרִאשֹׁנִים וְהָאֲחרֹנִים הִנָּם כְּתוּבִים עַל־דִּבְרֵי שְׁמוּאֵל הָרֹאֶה וְעַל־דִּבְרֵי נָתָן הַנָּבִיא וְעַל־דִּבְרֵי גָּד הַחֹזֶה׃” (대상 29:29, BHSSBL)
“Now the acts of David the king, first and last, behold, they are written in the history of Samuel the seer, and in the history of Nathan the prophet, and in the history of Gad the seer,” (대상 29:29, WEB)
• 나비(נביא) 는 "선지자" 가장 많이 사용된 예언자 칭호였고,
• 호제(הזח) 또한 나비 다음으로 많이 사용된 예언자의 칭호 혹은 "선견자"
• 로에(ראה) : "선견자"로 번역, 환상을 보는 자
‘로에’와 ‘호제’, 둘 모두 환상을 통해 하나님의 계시를 받는 자를 가리킵니다. 하나님의 뜻을 전하기 위해 "환상을 보는 사람"은 선견자로 번역했습니다.
로에와 호제는 둘 모두 "본다"는 뜻을 가진 말에서 파생된 단어들입니다.


‘하나님의 환상’

“그가 손 같은 것을 펴서 내 머리털 한 모숨을 잡으며 주의 신이 나를 들어 천지 사이로 올리시고 하나님의 이상 가운데 나를 이끌어 예루살렘으로 가서 안뜰로 들어가는 북향한 문에 이르시니 거기는 투기의 우상 곧 투기를 격발케 하는 우상의 자리가 있는 곳이라” (겔 8:3)
“וַיִּשְׁלַח תַּבְנִית יָד וַיִּקָּחֵנִי בְּצִיצִת רֹאשִׁי וַתִּשָּׂא אֹתִי רוּחַ בֵּין־הָאָרֶץ וּבֵין הַשָּׁמַיִם וַתָּבֵא אֹתִי יְרוּשָׁלְַמָה בְּמַרְאֹות אֱלֹהִים אֶל־פֶּתַח שַׁעַר הַפְּנִימִית הַפֹּונֶה צָפֹונָה אֲשֶׁר־שָׁם מֹושַׁב סֵמֶל הַקִּנְאָה הַמַּקְנֶה׃”
“He stretched out the form of a hand, and took me by a lock of my head; and the Spirit lifted me up between earth and the sky, and brought me in the visions of God to Jerusalem, to the door of the gate of the inner court that looks toward the north; where there was the seat of the image of jealousy, which provokes to jealousy.”

히브리어 단어 ‘하존’도 우리말 ‘환상’의 사전적 정의 보다는 좀 더 넓은 의미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히브리어로 <하존>이란 명사는 눈에 보이는 모종의 사건이나 광경을 가리킵니다.
그러므로 이 단어는 기본적으로 시각작용을 전제로 합니다.
이와 나란히 성경에는 청각 작용으로서 말씀을 강조하기도 합니다.
하나님이 말씀을 선포하고, 그 말씀을 듣는 행위를 성경은 매우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 예언자 자신의 고유한 의식 속에서 예언자 자신만이 볼 수 있는 장면도 있습니다.
이러한 작용을 묘사할 때 <하존>이란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이 단어는 다니엘서에 12회 나오고 에스겔서에 7회 나온다.
명사로 "하존"은 나훔서와 이사야서의 책 제목으로도 사용되는데, 모세오경에는 이 단어가 쓰이지 않았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