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은혜를 헛되이 받지 말라

은혜 많이 받았습니다

교회에서 주로 사용하는 말인데, '은혜받았습니다'라고 인사를 합니다.

그 은혜라는 것은 무엇일까요? 

은혜는 하나님 혹은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베풀어 준 뜻밖의 호의나 배려, 이해, 도움, 고마움 등을 의미합니다.
요한복음 1:14 “말씀이 육신(肉身)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居)하시매

우리가 그의 영광(榮光)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獨生子)의 영광(榮光)이요

은혜(恩惠)와 진리(眞理)가 충만(充滿)하더라”
(새로운 풀이번역) 말씀이 사람이 되셨습니다.
그가 우리 가운데 거하셨습니다(임마누엘).
그의  숨겨진 본질을 보게 됩니다.
아버지의 유일독특한 완전하신 하나님인 동시에 또한 완전한 사람이신 것이 본질이십니다.
그 안에 은혜와 진리가 충만합니다.


이 말을 종합해 보면 이런 뜻입니다.
그리스도를 보면 그가 아버지의 본질이신데 사람으로 오셨고,

그가 주고자 하는 것이 은혜(선물)이고, 진리(참)라는 것이다.
* 본질(本質)이란 사물의 본디의 성질이나 모습, 곧 `본바탕, 본체'를 의미합니다.

 

1. 은혜, 최고의 선물

8 너희는 그 은혜에 의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

이것은 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
우리에게 "그리스도를 주심"이 은혜입니다.
히브리어 헨(חן)은 두 가지 의미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불쌍히 여김, 긍휼히 여김, 2) 공짜, 값없음, 이유 없음, 까닭 없음.
“은혜를 입다, 은혜를 얻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의 관용 표현은 참 흥미롭습니다

: מצא חן בעיני~(마차 헨 브에이네이-). 즉, “상대의 눈에서 은혜를 발견하다”라는 표현입니다.
"노아는 여호와께 은혜를 입었더라"

원문대로 직역하면 " 노아는 하나님의 눈에서 은혜를 발견했다"(창 6:8)입니다.
은혜를 입었는데, 은혜를 주시는 분의 눈을 보면 압니다. 눈은 마음의 통로입니다.
정말 그것이 은혜인지 아닌지, 눈으로 알 수 있습니다.
히브리인들의 표현이 매우 흥미롭습니다.
은혜는 거래가 아닙니다.

계산하는 게 아닙니다.

사랑이 앞 서고, 마음이 앞서지 않으면 줄 수 없습니다.

눈을 들어 주님의 얼굴을 보십시오.


그분의 눈을 보십시오.

여호와의 이름은 히브리어로《יהוה 》입니다.
여호와는 본래 "스스로 계신자"라는 뜻이지만,

글자를 하나씩 파자해 보면
요드(만들다, 창조하다, 손),

헤이(나타내다, 보이다, 계시),

바브(연결하다, 갈고리, 못),

헤이(나타내다, 보이다, 계시, )
그가 행하신 일을 보십시오
그의 손을 보십시오.
못 박히신 손을 보십시오.
이 세상 그 무엇으로도 얻을 수 없습니다.
이보다 더 큰 사랑과 은혜가 없습니다.
옛말에 이르기를 "말만으로 될 일은 하나도 없다."
자고로 '입으로만 은혜(grace)를 베푸는 자에겐 믿음이 덜 간다.' 했다.
口惠之人鮮信 - '韓詩外傳'.

 

2. 은혜, 마음에서 나오는 것

1) 은혜와 마음
한자로  '은혜(恩惠)'는 恩 '은혜 은', 惠는 '은혜 혜'
이다.
은혜(恩惠)라는 두 글자 모두 마음심( 心 ) 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은혜는 자고로 주는 자도, 받는 자도 마음으로 주고, 마음으로 받아야 합니다.
이 ‘은혜 은(恩)’자를 파자해 보면 ‘心(마음 심)’과 ‘因(따를 인, 인할 인)’으로 구성되었는데,
'말미암다', '원인(原因)', '까닭' 등을 뜻하고,
'인하다 , 말미암다 , 의지하다 , 유래하다 , 잇닿다'는 의미이다.
囗(에워쌀 위)와 大(큰 대)는 사람이 방석(囗)에 누워있는(大) 모습을 나타낸다고 풀이한다.
사용한자로는 原因(원인), 要因(요인), 因緣(인연), 因果(인과), 敗因(패인), 誘因(유인), 死因(사인) 등으로 쓰인다.
孟子(맹자)가 이르기를 '남에게 재물을 나눠주는 것을 은혜라고 하고

남에게 착한 것을 가르치는 것을 충이라고 한다' 했다.

分人以財謂之惠(분인이재위지혜) 敎人以善謂之忠(교인이선위지충)'.
원인을 나타낼 때는 원인이 되지만, 마음심이 붙으면 마음심부터 읽어야 한다.
마음으로 인하여,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이란 글자가 된다.

그것이 은혜 은이다.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것을 입으로 크게 벌려 먹는 것, 말하는 것이 은혜이다. 

 

2)恩 주는 마음, 惠 받는 마음
은(恩) 자는 '내가 남에게 베풂을 받는(recieve) 일'을 의미하고,
혜(惠) 자는 내가 남에게 베푸는 일을 의미한다.
이제는 둘이 합쳐서 받고나 주거나 하는 것으로 발전했다.  
혜(惠) 자는 心(마음심) + 叀(삼갈 전. 오로지 전)으로 마음에 감동을 주는(give) 행동이다.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것을 전해주는 것이다.
실뭉치에 실을 감는 이인 어머니의 마음은 ‘은혜’
惠는 '은혜 혜'는 자비, 인자 등을 뜻한다.
특혜(特惠), 혜택(惠澤), 受惠(수혜), 施惠(시혜), 天惠(천혜), 互惠(호혜)

 

3. 은혜, 헛되이 받지 말라

고후 6:1 우리가 하나님과 함께 일하는 자로서 너희를 권하노니 하나님의 은혜를 헛되이 받지 말라
2 이르시되 《내가 은혜 베풀 때에 너에게 듣고 구원의 날에 너를 도왔다》하셨으니 보라 지금은 은혜받을 만한 때요 보라 지금은 구원의 날이로다


  * 은혜(恩惠) 고맙게 베풀어 주는 신세나 혜택
하나님은 언제나 우리에게 은혜주실 준비가 되어 있으시다.
은혜, 하나님이 주시는 선물이기에 함부로 할 수 없습니다.

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보화입니다.
그 은혜는 오직 예수 안에만 있고, 오직 예수로 말미암고 그와 더불어 누리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은혜를 베푸실 때 우리가 처한 곤경에서 우리 소리를 듣고 나를 돕는 분이십니다.
우리는 때를 따라 돕는 은혜를 얻기 위하여 보좌에 나아가야 합니다.
우리 마음이 문제입니다.
은혜는 마음으로 받습니다.
마음이 준비되면 언제든지 은혜받을 만한 때이고,

지금(오늘)이 주가 날 구원(날 도우시는)의 날이기 때문입니다.

주여 나에게 은혜를 더하소서.
주여 나를 언제나 은혜 안에 머물게 하소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