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월절(逾越節)을 아십니까? Passover, 페사흐(פֶסַח)

1.유월절(逾越節,Passover) 페사흐(פֶסַח)

  이스라엘 백성이 노예에서 해방되어 출애굽하던 날 밤에 하나님의 심판을 행하신다. 이를 거부하는 바로와 온 백성에게 재앙의 심판인데, 이스라엘 백성은 양의 피를 문설주와 인방에 바른다.
심판을 수행하는 천사가 그 피를 보고 그 집은 죽은 것으로 간주하고 넘어간다. 이것이 유월의 뜻이다.
우리말 순수 한글로는 번역이 어렵다. 번역 당시에는 한자로 유월이라 번역하여 우리도 유월절이라 사용하는 것이다.
한자로는 踰/隃(넘을 유)를 써도 된다. 어느 것을 써도 맞는 글자이다.

2.유월절을 의미하는 유(逾)

쉬엄쉬엄갈 착(辵 = 辶)과 兪(대답할 유, 성씨 유)의 회의(모으고 합쳐서 뜻을 나타냄)자이다. 한자1급에 해당한다.
유(兪)라는 글자는 육달월(肉=月)이지만, 본래는 배 주[舟]자의 변형이다.
배 위에 사람이 타고 있는 모양이다.
유(兪)자를 파자해 보면
舟(배)+ 亼(한사람) + 巜(흘러감) = 人一舟巜(인,일,월, 강물처럼 고인듯 흘러감) 혹은 人 + 一 + 月 + 女이다.
"배가 물에 떠서 가는 모양"인데, 그 배에 한 사람이있다. 그는 뱃사공이며, 그를 부르는 모양의 회의자이다. 그를 부르니 그가 대답한다. 대답할 유가 된다. ‘兪’는 배가 물에서 ‘나아감’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대화가 나아가는 것인 ‘대답함’을 뜻하게 되었다.☞ : 巜 : ‘흐르는 물’을 나타낸 글자

3.《변》에 부수로 붙은 것은 "뜻"이고, 우측은 글자는 "음"(소리)이다.

腧(경혈 이름 수) : 육달월(肉=月)은 몸을 의미
輸(보낼 수) : 車(수레거)에 실어서 보냄
䄖(사람 이름 수) : 衤(=衣) 옷
䠼(옷 입을 수) : 몸에 입으니
羭(검은 암양 유)
褕(고울 유) :  衤(=衣) 옷을 입은 모양
喩(깨우칠 유) : 입으로 가르쳐 주어 깨우쳐 줌
䩱(나머지 유)  : 가죽 혁(革) 피(皮革: 피혁), 혁대(革帶), 개혁(改革).
鍮(놋쇠 유) :  쇠
楡(느릅나무 유) : 나무
蝓(달팽이 유) : 벌레
堬(무덤 유) : 흙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