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십일조와 신정국가의 운영시스템

왜 내가 땀 흘려 번 돈을 국가는 세금으로 걷어가나?

한 국가나 단체가 운영되기 위해서는 조직과 건물, 그에 따른 다양한 경비가 발생합니다. 그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국가는 다양한 세금을 국민으로부터 납세하도록 하도록 하지요. 우리는 자신도 잘 모르는 사이에 직접세 혹은 간접세를 비롯하여 국가가 정한  많은 세금들을 납부하고 있습니다. 무려 25가지가 있고, 기타 각종 단체에도 기부하고나 후원도 하며 살아갑니다.
"조세제도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재정수입을 조달할 목적으로 법률에 규정된 과세요건을 충족한 모든 자에게 직접적인 반대급부 없이 국민에게 부과·징수하는 금전급부인 조세를 규율하는 규범의 총체입니다.
현행 조세체계는 국세(14개) 및 지방세(11개)로 분류되며, 홈페이지에서는 조세체계 및 세입구조, 각종 조세특례를 통한 조세지원제도, 주요 세에 대한 과세대상 및 세율 등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세청 자료)

심지어 우리들이 사 먹는 식사비에도 세금이 포함됩니다. 그렇게 걷힌(납부)한 세금은 결국 다시 국민들을 위해 쓰여집니다.

세금은 선순환입니다.

수입의 1/10 이상을 국가에 세금으로 납부합니다.
이처럼 세금은 국민을 위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 풍요로운 삶을 만들어가는데 쓰이는 것입니다. 그래서 국민의 4대 의무의 하나로 '납세의무'가 존재하는 것입니다.
악의적인 체납자에게는 탈세에 대해 강제로 징수하기도 합니다. 만일 세금이 없다면 국정은 운영이 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어떤 조직이든 경비가 발생하기 마련이고, 그 비용을 충당하는 방법도 각기 다양합니다.
일반 단체는 일반적으로 회비라는 방식으로 모금하여 조직을 운영하기도 하고, 후원금을 모금하여 조직을 운영비용을 충당합니다.

십일조를 바치라고...

십일조의 의미
십일조는 숫자적으로 1/10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1/10을 의미한다기보다는 가장 좋은 것이라는 의미도 담겨 있습니다.

십일조는 왜 생겨났는가?

한 국가는 다양한 <세금>을 통해서 국가 조직을 운영하는 것처럼 <십일조>는 고대국가였던 이스라엘 백성에게 부여된 세금과 같은 것이었습니다.
고대의 국가 운영시스템이 운용되기 위해서도 지금처럼 복잡하지는 않았어도 세금 종류는 지금보다 적었어도 납세는 더 많이 했을 것입니다.
이스라엘의 고대국가는 신정국가였습니다.
정치와 종교가 하나인 사회였습니다.
신정국가, 커다란 신앙공동체입니다.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세금처럼, 납부하게 한 것이 십일조입니다.
창세기의 십일조는 "마아세르"인데, 이는 단순히 숫자적 십일조는 아닙니다. 아브라함과 야곱은 마아세르(십일조)를 드렸습니다.
그가 소유한 것 가운데 가장 좋은 것을 드렸습니다.
그의 감사에서 우러나온 것입니다.
하나님에게는 당신의 아들이 '마아세르'입니다.
하나님은 당신의 아들을 우리에게 내어 주셨습니다.
아들과 함께 헤아릴 수 없는 사랑과 은총을 허락하셨지요. 때로는 기쁨, 감사, 승리, 행복..... 영생의 복을 주셨습니다.
그래서 감사함으로 나아가 그에게 감사제사를 드렸던 것입니다.
이러한 복을 아는 사람들은 자원하는 마음으로, 인색함이 없이 기쁜 마음으로 드렸습니다.

십일조는 하나님의 명령

이스라엘 백성이 2~3백만 명으로 성장한 후, 국가로서 기틀을 잡았는데, 그들이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을 돌보기 위해 레위지파가 택함을 받았습니다.
이스라엘이 애굽의 종살이하던 노예에서 해방되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그들에게 오직 하나님을 섬기는 일에만 혼신을 다하여 섬기도록 부름 받았지요.
이것이 그들이 해야 할 직무요, 생업이었습니다.
이같이 11지파의 신앙생활을 돕는 수고하는 레위지파의 생계를 책임지도록 십일조를 받치도록 하셨습니다. 레위지파의 생업이 없으므로 11개 지파가 헌신하여 그들의 생계를 담당하게 한 것입니다.
이처럼 레위지파는 11지파가 주는 십일조로 생활을 하게 하신 것이다.
선순환으로 레위지파는 11지파에게 <영의 양식>으로 양질의 말씀으로 먹이는 것이지요.
그렇게 레위지파에게 주던 십일조에서 다시 십일조를 떼어 제사장들에게 주게하였습니다. 제사장들도 역시 십일조를 하게하여 구제에 사용하게 했지요.

하나님의 사랑, 감사

내가 수고하고 내가 땀을 흘려 획득한 것인데, 왜 십일조를 바치라고 하는가? 그것은 분업 조직으로 만드셨습니다. 11지파에게 예배와 신앙공동체의 유익을 위해 전담하게 하심으로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시스템입니다.
교회들은 무엇으로 운영경비와 인건비, 그리고 기타 선한 사업과 구제를 하는가?
교회의 수입원은 십일조와 기타 헌금입니다.
십일조는 어디에 쓰이는가?
먼저는 신자들의 영적 유익을 위해 사용합니다.
예배를 위한 장소(건물유지비) 경비, 구제와 개척교회를 돕고, 교육과  행사비용과 운영비용, 인건비 등 경비를 쓰고, 또 사회적 책임을 감당하기 위해 구제와 선한 사업에 사용합니다.
즐겨내는 기쁨의 헌신이 있기에 그 마음을 담아 사랑의 헌금으로 강물처럼 세상으로 흘려보낼 수 있습니다.
당신의 그 고귀한 섬김은
하나님만이 아십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