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어린이 주기도문(1)

주기도문과 하나님 나라(마태복음 6:9~10)

그러므로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10 나라가 임하시오며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

행복이 오빠와 동생 사랑이가 나눈 대화를 통해 주기도문을 배워보자.
어린 사랑이는 주일도 빠지지 않고 성실하게 신앙생활을 하고 있지만 아직 이해되지 않는 것들이 너무 궁금했다. 어느 날 사랑이가
교회에 갔다 와서 고민하고 있었다. 정말 하나님은 살아계신 걸까? 그렇다면 왜 하나님을 볼 수 없을까? 정말 천국은 있는 걸까?.....

사랑이 : (혼자서) 하나님이 계신다면 어디에 계신 걸까? "정말 천국은 있는 걸까?
행복이 : 사랑아. 뭘, 그렇게 곰곰이 생각하니?
사랑이 : 응, 오빠, 여러 가지로 궁금한 게 있아서. 오빠, '하나님은 정말 살아 계신거야. 왜 하나님을 볼 수 없지. 또 천국은 정말로 있는걸까?'
행복이 : 오빠가 하나씩 알려줄게. 사랑아! 우리들이 예배드릴 때 왜 주기도문을 할까?
사랑이 : 그냥 주문처럼 외우는 거잖아.
행복이 : 주기도문은 주문처럼 외우는 게 아니야.
사랑이 : 그럼 뭐야!
행복이 : "주님이 가르쳐 주신 기도문이야"

제자들은 예수님을 "주님 또는 주(主)"라고 불렀어. 선생님이라고도 불렀지(히브리말로 "랍비"라고 불렀는데, '선생님'이란 뜻).
어느 날 제자들이 예수님께서 간절히 기도하는 모습을 보게 되었고 예수님처럼 기도하고 싶어서 기도를 가르쳐 달라고 했어.
예수님도 유대인이고, 제자들도 유대인이었지. 유대인들은 모세가 가르쳐준 5권(모세오경)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와 구약의 선지자들의 글과 시편을 알고 있었어. 그리거 유대교는 회당에서 예배를 드렸는데, 긴 기도문과 짧은 18개 기도문 ¹ 이 있어서 암송해서 매 안식일마다 기도를 했지. (<18기도문>은 아래에 링크해 놨어요)
그런데 제자들이 예수님이 하시는 기도는 그들이 회당에서 하는 기도와 달랐거든. 얼마나 궁금했겠어. 또 세례 요한도 제자들에게 기도를 가르쳐 주었지.
사랑이 : 오빠는 아는 것도 많네.
행복이 : 주기도문은 모든 신앙의 뼈대란다. 기독교 세계관이 함축(含蓄) ¹ 되어 있지.

함축 1. 겉으로 드러내지 아니하고 속에 간직함
2. 말이나 글이 많은 뜻을 담고 있음.
3. 문학"표현의 의미를 한 가지로 나타내지 아니하고
문맥을 통하여 여러 가지 뜻을 암시하거나 내포하는 일.

수학을 배우려면 공식을 알아야 하듯, 공식을 사용하면 모든 문제를 풀 수 있는 것처럼 주기도문은 신앙 공식이야.
사랑이 : 정말, 공식을 알면 문제를 풀 수 있잖아.
행복이 : 주기도문은 신앙 공식이라는 걸 명심해.
주기도문은 예배 때만 사용하는 게 아니라 매일매일 드리는 기도인 거야. 처음에는 암송하지만, 우리가 무엇을 믿고 생활하는지를 늘 상기시켜 주는 신앙지침, 신앙생활 공식과도 같인 거야!
사랑이 : 알았어. 앞으로는 암송하지 않고 하나씩 되새기면서 할게.
행복이 : 응, 주기도문을 하나씩 배워보자.
우리들이 종종 하나님이 안 계시다고 생각되고 천국에 대한 믿음이 안 생기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우리는 우리가 경험하고 생각하는 것만큼 생각하고 이해하지. 그러므로 당연히 내 생각밖에 있는 것은 알 수가 없는 거야. 내 생각에 하나님이 안 계시거나 혹은 하나님이 계셔도 못 느낄 수 있어요. 두 번째는 아는 지식이 희미해지고 세상적인 지식 때문이야. 세상적인 지식도 꽤 논리적이고 이성적으로 설득력이 있거든. 이 두 가지 이유로 성경이 안 믿어지게 되는 거야.
우리에게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없거나, 그것을 이해할 수 없을 때 하나님이 안 계시다고 여기게 된단다.
그래서 하나님을 아는 지식을 통해 하나님을 이해하고 알아가게 돼. 또 이미 하나님의 사랑을 많이 받았는데 그 사랑을 못 느낄 때 하나님이 안 계신가 하고 의심하게 되는 거야.
한 마디로 배우고 이해되는 것만큼 신앙도 깊어지고, 하나님도 알아가는 거야. 성경은 하나님의 모든 것을 알도록 우리에게 가르쳐 주고 있어. 하나씩 배워가면 하나님이 살아계시다고 고백하게 되고 하나님의 사랑을 받으며 그 사랑을 깨달으며 살게 되는 거야.


사랑이 : 알았어. 오빠. 열심히 배울께.
행복이 : 그래 하나씩 차근차근 배워볼까.
그러면 주기도문을 앞부분만 외워볼까.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하나님 우리 아버지가 계신 곳, 하늘이라고 했는데. 또 다른 이름으로는 천국(天國)이라고도 해. 하늘나라, 하나님 나라, 천국이라고 해.
"하늘나라" 하늘을 한자로 하늘 천, 나라 국, "천국(天國)"이야. 하나님이 계신 곳이니 하나님 나라라고도 하지.
* 나라는 통치(주권), 영역(장소), 국민(소속)이 있어야 하지.

오늘은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에 대해 살펴보려고 해.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오늘은 하늘에 대해서 알아보는 거야.
하늘은 좁게는 우리 눈에 보이는 곳을 의미하지.
넓게는 하늘은 '우주'를 의미하기도 해.
성경은 "궁창"이라고도 말했어.
창세기 1:8 하나님이 궁창(穹蒼)을 하늘이라 칭(稱)하시니라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이는 둘째 날이니라 *궁창(穹蒼) : 하늘 궁, 푸를 창

사랑이 : 오빠 너무 어렵다. 좀 더 쉽게 얘기해 줘~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성경에 쓰인 명사 대부분이 80~85%는 한자로 번역되어서 먼저 한자도 좀 배워야 해.


(한자 성경 어플도 나와 있어)
아래의 두 번째는 한자 성경, 네 번째는 히브리어 헬라어 성경 = 복사 기능을 사용하면 가져다 쓸 수 있어


* 하늘[H8064: שָׁמַיִם 샤마임 shamayim) : 첫째, 문자적으로 샤마임(명남)은 쌍수이다. '두 개의 하늘'을 의미하지만 일반적으로 '하늘, 하늘들, 창공' 등으로 번역한다.(신발, 손 등은 쌍수이다. 두 개이지만 하나처럼 단수로 표기한다.)
둘째로, 샤마임은 '높다'를 뜻하는 동사 샤마에서 유래된 것이므로, '높은 곳'이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그래서 하늘은 하나님의 거처를 의미한다.

'하나님이 거하시는 곳인 하늘', 마 23:22; 행 7:49; 계 4:1 이하; 계 11:13; 계 16:11; 마 5:16; 마 6:1, 마 6:9; 요 3:13, 요 3:31; 요 6:38 등을 의미한다.

하늘은 하나님의 거처이며(신 26:15, 왕상 8:30-49, 대상 21:26, 시 139:7-8). 하나님은 하늘에서 통치하시며(신 4:35-36, 신 33:26, 신 33:27), 간구를 들으며(왕상 8:30-39, 왕상 8:54-56, 대상 21:26, 대하 7:14, 느 9:27, 시 20:6) 재앙을 내리신다(창 19:24, 삼상 2:10, 단 4:13-17). 에스겔은 하늘이 열리고 거기 계시는 하나님의 이상을 보았다(겔 1:1). 또 하늘은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시 19:1), 그의 의를 선포하고(시 50:6, 시 97:6), 그를 찬양한다(시 69:34). 그러나 하늘이 아무리 장대하다 할지라도 창조주 하나님에 비하면 보잘 것없는 것이니 예배해서는 안된다(출 20:4, 렘 44:17-25). 하늘은 비록 하나님의 보좌이긴 하지만(사 66:1) 어느 날 그 종말이 오나니 연기같이 사라질 것이며(사 51:6) 두루마리 같이 말릴 것이다(시 34:4). 그때에 하나님께서 새 하늘과 새 땅을 창조하실 것이다(사 65:17, 사 66:22, 벧후 3:13, 계 21:1-4). 나아가 여러 가지 관계에서 의인화하기도 한다.(사 1:2, 렘 2:12, 욥 15:15, 시 50:6, 시 97:6, 시 89:5.)


여기부터는 신학적 의미입니다.
1.18기 도문 관련 자료
https://dongtanms.kr/22936

https://koinedata.tistory.com/935

동탄명성교회 - [교회사] 회당예배의 순서 중 기도문(쉐모네 에스레)

쉐모네 에스레(Shemoneh Esreh) 기도문 유대인들이 회당 예배를 발전시키면서 하나님께 드리던 기도문이다. 이 기도문은 총 18개로 되어 있는데이것이 언제 만들어졌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2세기

dongtanms.kr

안식일 회당예배의 순서와 유대인의 18기도문(쉬모레 에스레)

회당 예배의 이해 기독교 이전 시대의 디아스포라에서는 “회당”이라는 단어보다는 “기도처”라는 단어를 즐겨 사용하였다. 하지만 성전 시대 팔레스타인의 회당은 기도처의 역할보다는 토

koinedata.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