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혜는 마음의 생각에서 비롯된다

"지혜를 얻은 자와 명철을 얻은 자는 복이 있나니. 이는 지혜를 얻는 것이 은을 얻는 것보다 낫고 그 이익이 정금보다 나음이니라". (잠언 3:13-14).
智慧(밝을 지) / 知慧(알지) : 어떤 일이나 대상이 가진 근본적인 성질이나 속성을 바르게 깨닫고 판단하는 힘.
• 지혜 지(智) : 해(日)처럼 환히 아는(知) 지혜


1. '지혜'는 어디에서 올까? (욥 11:12, 12:12 참고).
일반적으로 지혜는 "(올바른) 마음의 생각"에서 나온다. 그러나 지식은 똑똑하면 얼마든지 습득이 가능하다. 하지만, 지혜는 따뜻한 마음의 생각에서 나온다. 
 "마음"은 '정서와 사랑'을 포함한다. 마음을 바르게 하는 훈련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 준다. 그 결과로 복을 얻고, 은과 금보다 더 나은 것을 얻기 때문이다. 참 지혜 곧 하늘의 지혜는 어떻게 얻는가?

2. 어원적 의미
우리말 "지혜"는 '사물의 이치를 빨리 깨닫고, 정확하게 처리하는 정신적 능력'을 말한다.
• 히브리어 חָכְמה (호크마) : 호크마는 동사 חָכַם (하캄)에서 파생한 명사로 חָכַם (하캄)은 성경에 26회, '현명하다'란 뜻의 상태동사(형용사)로 쓰인다. 인간의 지성 활동을 묘사할 때 흔히 이 동사를 사용한다.

망(罔) : 없다, 속이다, 맺다, 흐리다, 그물.
• 태(殆) : 위태하다, 위태로워하다, 해치다, 가까이하다, 거의, 처음.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깨달음이 없다.
또 생각만하고 배우지 않으면 인생이 위태롭게 된다.
배우는 일이 중요하다. 하지만, 공부하는 목적이 무엇인가?
인격도야이다.
도야(陶冶) :  • 가르칠 도(陶),  • 단련할 야(冶)
의역하면 도자기나 금속공예를 만들듯 인격을 수양해야 한다는 뜻이다.
사람의 인격도 갈고 닦지 않으면 안된다는 뜻을 말함이다.
훌륭한 인격이나 재능을 갖추려고 몸과 마음을 닦는 것을 일컫는다.
나는 어떠했는가?
전후좌우를 살펴 깊이 있는 학문을 하였던가? 지식만 습득하기에 급급했던가?

공자가 말했다(子曰).

人無遠慮, 必有近憂 (자왈 인무원려, 필유근우)
"사람이 멀리 내다보지 않으면 반드시 가까운 데서 근심거리가 생긴다."
이는 "사람들이 멀리 내다보지 못하고 당장 눈 앞의 보이는 이익에만 몰두한다, 그러면 가까이에 근심거리가 생기기 마련이다"는 뜻이다.

율곡 이이 선생은 아홉 번의 과거시험에서 아홉 번 모두 수석(과거시험에 모두 장원급제하여 구도장원공이라 불림)을 놓치지 않았다.
그는 그 비결은 공자의 《유구사(有九思, 아홉 가지 생각)》를 들었다.
마음의 생각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준다.
첫째 시사명(視思明)
눈으로 볼 때는 밝음을 생각하라. 즉, 그것이 바른 것인지를 《명확하게 볼 줄 알아야 한다》는 뜻으로 올바른 판단의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둘째 청사총(聽思聰)
들을 때는 총명함을 생각하라.
듣는 것에는 곧 총명함이 있어야 한다.

셋째 색사온(色思溫)
안색에는 온화함을 생각하고 가져라.
얼굴을 펴야 인생이 펴진다.
리더의 얼굴이 온화해야 조직이 살아나게 된다.

넷째 모사공(貌思恭)
용모에서는 공손함을 생각하라.
공손함은 사람을 끌어들이는 힘이 있다.

다섯째 언사충(言思忠)
말을 할 때는 진실함을 생각하라.
말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여섯째 사사경(事思敬)
일을 할 때는 공경함을 생각하라.
모든 일에는 다 그만한 가치가 있다.
그래서 공경스런 마음으로 일에 임해야 한다.

일곱째 의사문(疑思問)
의문이 생기면 질문을 생각하라.
질문이 없으면 답도 없다.
아이들은 질문을 하면서 성장한다.
올바른 질문을 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여덟째 분사난(忿思難)
화가 날 때는 그 후에 닥칠 어려움을 생각하라. 화가 날 때는 한 템포 쉬어야 한다.
잠깐 멈추는 사람이 진짜 강한 사람이다.

아홉째 견득사의(見得思義)
이득을 볼 때는 '의(義)'를 생각해야 한다.
즉 '정당한가', 공의를 생각해야 한다.
당장 눈 앞에 보이는 이익에 급급한 나머지 전후좌우를 살피지 못한다면 그것은 곧 위태하기 때문이다.

3. 실제적인 예
공자 말하길 ‘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
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