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선한 목자가 계십니까?

선한 목자 예수 그리스도

선한 목자 예수 그리스도(요한복음10:14~21)

교회력으로 사순절(四旬節) 기간입니다.

순(旬)은 열흘(10일)을 의미합니다. 사순은 40일이지요.

무엇으로부터 40일 전인가요?

사순절은 <예수님이 부활하신 날>로부터 40일전부터 지키는 절기입니다.

사순절 기간은 그리스도께서 이 땅에 오셔서 아버지의 보내신 계획을 따라 그 일을 성취하시기 위해 구속의 걸어가신 길을 묵상합니다.

또한 은혜와 하나님의 도움을 구하는 기간입니다.

우리는 양과 같이 앞을 멀리 내다보지 못하고, 양처럼 이 세상의 것(먹는 것에) 집착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목자 곧 <선한 목자>를 절대적으로 필요로 합니다.

 

오늘 예수께서 비유로 하신 말씀은 <목자와 양>은 시편23편을 생각나게 합니다.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내게 부족함이 없으리로다." 

 

1. 누가 나의 목자입니까?

어떻습니까? 여러분은 목자가 있습니까?

다시 한번 확인해야 할 가장 중요한 성경의 질문입니다. 

우리는 당연히 주님이라고 대답할 수 있어야 하지만,

종종 내가 나의 목자이거나 세상이 나의 목자일 때가 있습니다.

우리는 <성경적 신앙관>으로 내 삶의 모든 것을 해석해야 합니다.

다윗처럼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라고 했던 것처럼, 나도 그렇게 고백할 수 있습니까?

그렇다면 내가 부족함이 없으리로다. 그가 나를 푸른 초장에 누이시며 쉴만한 물가로 인도하시는 도다라는 고백하며 살고 계십니까?

 

2.목양의 관계(牧羊; 목자가 양을 인도하고 먹임)

  14, 나는 선한 목자라 나는 내 양을 알고 양도 나를 아는 것이

예수님은 안다는 말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안다'는 말은 목자와 양은 인격적인 관계를 의미하는 중요한 의미입니다.

여기서 안다는 단어는 서로가 깊이 을 의미한다.

히브리어 '야다'(ידע), 헬라어 '기노스코'(γινώσκω)인데, 안다는 말은 '다른 사람과 인격적이며 친숙한 관계를 맺다마음을 기울여 보살핀다, , 몸과 마음과 <체험>으로 아는 것을 뜻했다.

손을 뜻하는 히브리어 '야드' '야다'와 같은 어원이다.

그래서 '야다' '손으로 만지다 또는 다루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야드)'으로 어떤 대상의 물건(사람)을 자주 만지고, 잘 다루면 그 것과 친밀하고 잘 '안다(야다)'는 의미이다.

여러분은 주님의 손길을 느끼십니까?

여러분은 주님과 친밀하고 뗄 수 없는 생명적 결탁의 관게입니까?

구약성경에서 안다는 관계적인 측면에서는

주인과 종, 왕과 신하, 신랑과 신부, 목자와 양, 아버지와 아들()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은 이름으로도 알고, 얼굴을 맞대고 모세를 아신다고 했다(33:17, 34:10).

만일 관계가 뒤틀리면 죽음입니다. 또 관게가 잘못되었다면 병든 것입니다.

신앙의 건강함은 목자의 음성을 듣고 따르는 양입니다. 

 

3.목숨을 버리신 선한 목자를 따름

15, 아버지께서 나를 아시고 내가 아버지를 아는 것 같으니 나는 양을 위하여 목숨을 버리노라

예수님은 아버지를 알고 있다. 아버지도 아들이신 예수님을 아신다.

그렇기 때문에 예수님은 아버지의 뜻에 순종하신다.

17 내가 내 목숨을 버리는 것은 그것을 내가 다시 얻기 위함이니 이로 말미암아 아버지께서 나를 사랑하시느니라

예수님의 죽으심의 목적은 다시 얻기 위함이다.

, 버리심으로 이루실 목적이 있고, 얻으심으로 이루실 뜻이 있다.

사도 바울은 이에 대해 4:25에서 예수는 우리가 범죄한 것 때문에 내줌이 되고 또한 우리를 의롭다 하시기 위하여 살아나셨느니라

그의 죽으심은 우리 죄를 짊어지시기 위함이었고, 그가 다시 살아나심은 우리를 하나님 앞에 의를 얻게 하기 위함이었다. 18 이를 내게서 빼앗는 자가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스스로 버리노라 나는 버릴 권세도 있고 다시 얻을 권세도 있으니 이 계명은 내 아버지에게서 받았노라 하시니라

이러한 권세, 즉 죽고 다시 살아나심(부활)은 하나님 아버지께서 약속하신 것이다.

그러기에 예수님은 기꺼이 죽음에게 자신을 내어 주셨습니다. 그래서 아버지의 뜻을 이루시고 성취하십니다.

예수님은 보냄을 받으신 뜻을 십자가로 이루시고, 부활로 성취하셨습니다.

이로써 우리의 구원이 성취되어진 것입니다.

우리가 보태거나 더하는 것은 마귀가 주는 생각입니다.

결코 그럴 수 없습니다.

구원은 100% 그리스도의 공로요, 그를 보내신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제 우리는 우리를 위해 목숨을 버리신 선한 목자 예수님을 따라야 하지 않겠습니까? 

이제 여러분이 대답할 차례입니다. 주님의 음성을 듣고 따르기로 굳게 결심하셨습니까? 

선한 목자 예수님은 언제나 옳으십니다. 

선한 목자 예수님은 언제나 선하십니다. 

선한 목자 예수님은 언제나 우릴 사랑하십니다.

 

▣ 말씀 나눔

1.여러분은 그리스도 예수를 인격적으로 알고 그를 경험하고 있습니까? 진정으로 친밀하십니까?

2.우리 목자이신 예수님께서 목숨을 버려 우릴 구원하셨는데, 나는 주님께 어떻게 반응해야 합니까?

3.예수님이 죽으시고 부활하심으로 성취하신 하나님의 계획은 각각 무엇입니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