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당신으로 《무엇으로》 기뻐하고 즐거워하는가?

마음가짐에 따라 행복해질 수 있다

모든 사람이 원하는 공통점이 있다면 "행복"(幸福, happiness)입니다.
행복은 불행의 조건들이 사라지고 바라고 기대하던 욕망들이 충족되었거나 이루어져 가는 것을 보면서 만족하거나 즐거움을 느끼는 상태를 일컫는 말합니다.
"행복"이라는 라틴어는 베아티투도(beatitudo)
입니다. 베아티투토는 베오(beo, 복되게 하다, 행복하게 하다)와  '아티투도(attitudo = attitude, 태도나 자세, 마음가짐)라는 명사의 합성어입니다.
둘을 합쳐보면 행복이 외적인 조건이 아니라 그 사람의 마음의 태도(자세)라는 뜻입니다.

happiness(행복) 어원

happy의 어근은 'hap'인데, 고대 스칸디나비아 말(노르웨이어)이라고 합니다.  happ는 chance'(우연), luck 또는 fortune(행운)의 의미를 담고 있었다.
"운이 좋은, 운이 좋아서 유리한 상황에 있는, 번영하는", 일이 "잘 풀리는" 의미로, hap (명사) "운, 행운" + -y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영어 단어 happy는 ‘기회’hap에 형용사 또는 명사를 나타내는 어미 -y가 결합해 만들어진 단어이다.
여기서 동사 happen(발생하다, 생기다)이 나왔고, happening(사건 또는 사고)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고 한다.
반대말은 ‘mis+hap’은 "불운한 일이나 재난"을 뜻하는 명사이고 ‘hapless’는 ‘재수가 없다’는 뜻의 형용사가 되었다.
정리해 보면 ‘happiness’(운이 좋은 상태로 발생하다")는 뜻이 된다.


[자기계발] 행복이란? 행복한 삶을 위한 7가지 조건

여러분은 행복하세요? 네!라고 큰 목소리로 자신 있게 대답할 수 있나요? 제가 이전 글에서도 몇 번 행복에 대해서 언급한 적이 있는데요. 저는 행복한 삶을 살아오지 않았습니다. 특히 남들은

brunch.co.kr

https://brunch.co.kr/@annachoi/83

모든 사람이 원하는 공통점이 있다면 "행복"(幸福, happiness)입니다.
욕망이 충족되어 만족하거나 즐거움을 느끼는 상태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조건 1, 질 높은 거주환경
조건 2, 경제적 안정
조건 3, 민주주의의 발전
조건 4, 도덕적 실천이라고 말하는가 하면,
서울대 심리학과 민경환 교수팀의 연구에 의하면 우리말 중에 사람이 느끼는 감정을 표현하는 단어는 몇 개나 될까? 희로애락으로 대변되는 감정에 관한 단어는 약 434개에 달한디고 한다.
그 가운데 상쾌함을 주는 감정의 단어들,  사랑·행복·기쁨 등에 관한 말은 전체의 30%가 안 되고, 부정적인 감정인 슬픔·참담함·화 등을 나타내는 단어가 70%를 넘는다고 한다.


기쁨과 즐거움
위 연구에 의하면 기쁨은 쾌감 점수가 10점 만점 중에 5.94이고, 즐거움은 5.89로 소개되어 있다. 기쁨이 즐거움보다 더 강한 쾌감인 것이다. 그러나 그 차이가 크지 않기에 쾌감의 강도만으로 구분하기는 어렵다.
기쁘다(喜)와 즐겁다(樂)의 차이는 무엇일까?
즐거움 즉, 낙(樂 )은 감각적 차원의 쾌감이다. 맛있는 것을 먹고 재미있는 영화를 보고 마음에 드는 물건을 쇼핑할 때 우리는 감각적인 쾌감을 느낀다. 그에 비해 기쁨, 즉 희(喜)는 다르다. 기쁨은 고통, 불편이 동반된 쾌감이며 정신적인 것이다
.
성경은《복음 Good news》기쁜 소식입니다.
하버드대학교 인생성장보고서/ 행복의 조건/ 저자 조지 베일런트는 "우리 인생에 행복의 조건은 무엇일까?
이렇게 계속 살아도 되는 것일까?
어떻게 살아야 행복한 삶이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답을 찾기 위해서 무려 72년 동안 추적하며 연구한 종단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그렇게 해서 출판된 책이
'행복의 조건: 하버드대학교 인생성장보고서'이다.
이 종단연구의 대상자는 총 814명이었다.
1) 하버드대학교 법대졸업생 268명,
2) 이너시티 집단(도시빈민남성) 456명,
3) 터먼 여성집단(IQ 150 이상 천재여성) 90명 등

이 보고서의 연구 결론은 무엇일까?
인생보고서에 따르면 노년의 행복은 재력이나 학력, 아이큐 등과 같은 조건이 아니라 그 사람이 《얼마나 건강한 삶을 살았는가》에 달려 있더라는 것이다.
하버드대학교가 제시한 행복의 7가지 조건
나는 지금 행복한가? 앞으로 행복해질 수 있는가? 에 대한
인생성장보고서 결론을 보자.
1. 고난에 대처하는 자세(성숙한 방어기제)
2. 교육년수, 평생교육. 늘 평생 배우는 자세
3. 안정적인 결혼생활, 50세까지 안정적인 결혼생활을 한다면 80세까지 행복할 수 있음.
4. 담배를 피우지 않음(또는 45세 이전 금연)
5. 알코올 중독 경험이 없음(적당한 음주는 허용)
6. 규칙적인 운동
7. 적당한 체중 유지
이상 7가지였다.
그런데 이 일곱 가지라는 결론이 놀랍다. 매우 특별할 거라 생각했는데, 너무나 평범하고 쉬운 것이라 약간 싱겁기도 하고 놀랍기도 하다.

행복은 멀리 있지 않았다. 그리고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누릴 수 있는 것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조건을 많이 갖추고 사는 사람이 행복하고 건강하게 장수하고,  반대로 이러한 조건 중 3~4개 조건을 갖춘 사람보다 80세 이전에 사망할 확률이 3배 이상 높았다.
여러분은 어떻습니까?
역시 행복은 사랑하는 사람이 함께 있을 때이다.

아내가 "와우! 세상에나 행복조건 7가지가 전부 우리 남편 거네.
여보야 덕분에 나도 행복한 아내다. 굿굿"
아내의 말처럼 나는 지금까지 그렇게 살아온 것이 사실이다. 하나님의 은혜가 아닐 수 없다.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하나님의 은혜의 선물! "가족"
1. 믿음이 행복의 기초 : 어떤 고난을 당해도 그 고난 속에는 하나님의 뜻이 있음을 믿으며 살아왔다.
2. 배움 : 나는 평생을 배우는 자세로 공부하고 또 공부했다.
3. 가족 : 아내와 결혼한 지 27년 동안 한 번의 위기도 없이 1남1녀가 이제 성인이 되어 그들의 꿈을 찾아가니 행복한 결혼생활이다
4. 가무 : 술과 담배는 입에 대는 일이 없다.
가장 행복한 일은 하나님의 무한하신 자비와 긍휼하심 때문이라는 것을 믿으며 사는 일이다.
지금도 내 인생에 하나님이 주신 기회와 은총들을 헛되이 사용하지 않으려고 매 순간 최선을 다해 살려고 노력한다.


오늘, 현재가 중요

이 연구보고서는 이렇게 말한다.
자신의 행복은 자신의 선택에 따라 좌우된다고,
그리고 지금부터 삶의 방식을 바꾸면 10년 후, 20년 후 80세 때는 나도 행복할 수 있다고 한다.
오늘 내가 선택한 삶이 미래의 행복을 결정한다!

‘신’(辛) ‘행’(幸)

‘행’(幸)을 보면 매울 ‘신’(辛)과 한 ‘일’(一) 자로 되어 있다.
누구나 인생에 고통辛을 겪지 않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그 고통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가 중요하다. 긍정이라는 어떤 희망이나 기쁨 하나를 얹으면 그것이 곧 행복으로 바뀐다는 사실을 가르쳐 준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