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렇게 기뻐하라(시편 107:1,8)

[明泉] 맑은 샘물 2023. 8. 12. 18:44

그리스도인의 《기쁨과 감사》는 왼발과 오른발의 관계입니다. 
어느 하나라도 없으면 진보가 없습니다. 
기쁨은 감사함에 영향을 주고, 감사는 기쁨의 샘에서 길어 올리는 생수입니다. 
기쁨은 하나님이 주시는 선물이고, 감사는 우리가 하나님께 올려 드리는 선물입니다.
우리의 사람에서 기쁨을 빼앗아 가는 것들 :
1) 갑작스런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2) 힘들게 하는 사람으로 인하여,
3) 나 자신(고집, 아집, 탐욕)으로 인하여,
4) 마귀의 계략의 속임으로 인하여
우리의 기쁨을 빼앗깁니다.
이러한 것들은 단번에 해결하는 것은 하나님을 기뻐하는 것입니다. 어떤 환경, 어떤 상황, 어떤 누구도, 마귀의 속임도 단번에 잘라버리는 방법은 하나님을 즐거워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찬양입니다.
기쁨은 우리의 마음에서 길어 올리는 것입니다.
참된 영혼의 기쁨은 하나님의 은혜의 샘에서 길어 올리는 것입니다.
기쁨은 영어로 "Joy”입니다. Joy는 기쁨, 환희, 성공, 만족 의 뜻이 있습니다.  


기독교, 기쁨의 종교

“주 안에서 항상 기뻐하라. 내가 다시 말하노니 기뻐하라”(빌 4:4).”  주 안에서 기뻐하십시오. 주님으로 인하여 기뻐하는 것입니다.
기뻐하는 사람은 하나님께 기쁨으로 찬송할 수 있습니다.
무엇으로 기뻐해야 하는가?
“여호와의 인자하심과 인생에게 행하신 기이한 일을 인하여 찬송할지로다”(시 107:8,15,21,31)”
시인이 하나의 시에 위의 구절을 네번 반복해서 쓴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리는 여호와 하나님의 성품을 잘 알기에 기뻐할 수 있습니다. 

인자하심, 기이한 일

사람의 제일 되는 목적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영원토록 그를 즐거워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즐거워한다’는 말은 ‘기뻐한다’는 말로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계획, 그의 섭리, 그의 뜻>을 기뻐하는 것입니다.
건강한 그리스도인은 어떤 사람입니까?
하나님을 인하여 항상 기뻐하는 사람입니다.
“여호와께 감사하라. 그는 선하시며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시 107:1)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뜻은 선하심과 인자하심입니다. 
 

말할 수 없는 영광스러운 즐거움

이 세상에서 우리들에게 《무엇》이 이토록 <말로 할 수 없는 영광스러운 즐거움 : 최상의 기쁨>을 줄 수 있습니까?
사도 베드로는 “예수를 너희가 보지 못하였으나 사랑하는도다.
이제도 보지 못하나 믿고 말할 수 없는 영광스러운 즐거움으로 기뻐하니”라고 합니다(벧전 1:8).
우리의 최고의 기쁨은 예수그리스도를 알고 경험한 것입니다.
그리스도를 통해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아버지로 부르며 교제하는 것이지요.
사도요한도 요한 1서 1장 3저~4절 
"너희로 우리와 사귐이 있게 하려 함이니
우리의 사귐은 아버지와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와 더불어 누림이라.
우리가 이것을 씀은 우리의 기쁨이 충만하게 하려 함이라”했습니다.
찬 436장 <나 이제 주님의 새 생명 얻은 몸>이라는 찬송가 저자인 이호운 목사는 “새“새 생명을 얻은 기쁨”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자신이 예수를 알고 난 이후로 이제는 자신이 새사람이 되었다.
그 비결이 예수 안에 있고, 그 생명이 내 맘에 강같이 흐르고 그 사랑 내게서 해 같이 빛나고 있다고.
이 놀라운 기쁨을 무엇으로 다 표현할 수 있을까요?
사람들은 당장 행복이나 기쁨을 눈에 보이는 의식주 문제나 물질의 넉넉함이라 생각하기 쉽습니다.
이것이 자본주의가 주는 단점이다.
그런데 행복지수는 가진 것 곧 소유가(소유) 아니라 “얼마나 누리고 있는가?”에 있습니다.
왜 가난한 나라임에도 행복지수는 높고, 왜 부자 나라임에도 불행하다고 여기고 자살하는 수가 더 많은가?
그리스도인은 기쁨을 누릴 충분한 자격이 있고 
또 행복과 기쁨을 누려야만 합니다. 
마귀는 어떻게 하든지 우리 마음에 의심, 불안, 걱정, 염려, 불신, 삐짐, 섭섭함, 원망, 불평 등을
심으려 온갖 속임수를 다 사용합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마음 지킴이>가 되어야 합니다. 
보는 것, 듣는 것, 우리의 자랑이 마귀가 접근하는 그 통로입니다. 
우리는 우리 하나님의 선하심, 인자하심을 묵상해야 합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위해 하시는 모든 일에 옳으십니다. 
100% 선하십니다. 
또한 우리를 위해 행하시는 일들은 기이합니다. 
합력하여 선을 이루십니다. 
인자하심은   히브리어 חסד _헤세드인데, 우리말로는  "은혜, 긍휼, 자비, 인자"로 번역되었습니다.  
히브리어 '헤세드'는 '은혜(긍휼, 자비, 인자)'를 의미하는 단어이다. 

하나님의 성품입니다. 우리를 향한 그의 자비로우심, 긍휼하심, 인자하심입니다. 
시인은 하나님이 행하시 기이한 일들로 인하여 하나님을 기버하며 찬송하고 있습니다. 
2.절 하, 대적의 손에서 그들을 속량하사
6(하) ..... 그들의 고통에서 건지시고
7 또 바른 길로 인도하사 거주할 성읍에 이르게 하셨도다
8 여호와의 인자하심과 인생에게 행하신 기적으로 말미암아 그를 찬송할지로다
14 흑암과 사망의 그늘에서 인도하여 내시고 그들의 얽어 맨 줄을 끊으셨도다
15 여호와의 인자하심과 인생에게 행하신 기적으로 말미암아 그를 찬송할지로다
20 그가 그의 말씀을 보내어 그들을 고치시고 위험한 지경에서 건지시는도다
21 여호와의 인자하심과 인생에게 행하신 기적으로 말미암아 그를 찬송할지로다
31 여호와의 인자하심과 인생에게 행하신 기적으로 말미암아 그를 찬송할지로다

 
기쁨을 회복하라

이것이 기쁨을 회복하는 방법입니다.
“여호와의 인자하심과 인생에게 행하신 기이한 일을 인하여 찬송할지로다”(시 107:8,15,21,31)”
우리가 하나님을 찬송하는 것입니다. 그가 행하신 일들을 기억하고 감사하며 찬송할 때 지금도 살아계신 하나님은 우릴르 위해 기이하고 놀라운 일을 행하시는 분입니다.
성경은 우리들에게 고행을 통해 무언가를 득도(깨달으라)하라고 말하거나 요구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종교적 신념으로 고행을 하면 무언가 내가 성취한 것 같고 “나도 이 정도야! 괜찮잖아!”라는
일시적인 만족을 얻게 해 줍니다. 스스로 만족입니다. 그러므로 그리 오래가지 못합니다. 
사람의 힘으로 무언가를 이루려 하다 보니 가면 갈수록 허무하다는 것을 알게 되지요.
율법주의로 빠진 <유대교나 수행으로 가던 불교>가 그러합니다. 그들의 신앙은 기쁨이 아닙니다.
기독교는 체험의 종교라 말합니다.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는 고행을 요구하는 < 사제의 길>에서 복음을 통해 기쁨을 되찾게 되었습니다.
그는 우리가 부르는 복음성가의 창시자입니다.
마르틴 루터 이후로 개인적으로 체험한 은혜들을 가사로 작사하여 찬송을 만들어 부르게 되었습니다.
이후로 부흥의 시기에는 찬송가들은 폭발적인 부흥을 가져오는 역할을 했습니다.
자신이 체험하고 경험한 은혜들을 노래하니 즐겁고 기쁨으로 충만했던 것이지요.
여러분은 말씀을 깨달아 송이꿀 같은 말씀의 달콤함을 깨닫고 있습니까?
성경을 통해 복음을 알고 하나님의 사랑을 “발견했습니다.
말씀이 참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라는 고백이 있습니까?
우리가 성령으로 인도함을 받는다면 모두가 이렇게 고백할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의 가슴을 뛰게 하는 “생수”(성령)을 주시는 분입니다.
주님을 만나려 노력하는 사람들에게 주님은 <생수>를 주십니다.
기뻐하는 사람은 찬송합니다. 감사가 있습니다. 노래가 있습니다. 
 
 

■ 말씀 나눔

1. 당신은 최근에 무엇으로 인하여 기뻐했습니까?
                                                                                                                                                         
   정말 예수 믿는 것으로 기쁨을 누리고 있습니까?
 
2. 마귀는 우리 마음을 빼앗으려 온갖 수단을 가리지 않습니다. 우리 마음을 지키려 어떻게 해야 합니까"
                                                                                                                                                          
3. 믿음의 거장들은 대부분 성경을 읽다가 이러한 기쁨을 발견했습니다. 성령의 기쁨은 누가 줍니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