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축복과 저주

[明泉] 맑은 샘물 2023. 7. 9. 22:55

야고보서 3장10절한 입으로 아버지를 찬송하고, 형제를 저주(G2671, 카타라, 咀呪)하는 것이 마땅치 아니하니라. 

 
축복기도, 축원합니다~

목사가 축복기도(축도)를 한다.

축복기도(祝福(  기,  도)이다. 

축복(祝福), 축하(祝賀).

神(신), 祝(빌 축), 福(복 복), 祈(빌 기), 禱(빌 도) 

여기 다섯 글자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것이 礻(= 示)이다. 

는 제단을 그린 자형으로 "신에게 보이다"는 뜻으로 인간편에서는 제단이요,

       신은 그곳에서 만나주고 복을 주는 자리이다. 

(빌축)은 (보일시) + (입구) + (어진사람인)이 합쳐진 회의문자(会意文字)이다.

    빌 축(祝) 제단에서 제사지낼 때 <신에게 원하는 것을 '빎'>을 뜻한다.  

축원(祝願)은 원하는 것을 빎, 비는 말이다. 

    祝은 의식을 갖추어(示) 신에게 좋은 일이 생기도록 기원하는 의미로 주로 쓰였다.

呪(주문 주) 口가 더해져서 큰소리로 남에게 불행이 내리길 말로써 욕을 하는 모양을 의미하고, 

    신에게 나쁜 의미로 비는 것을 말한다. 

저주(咀呪)에서 핵심적 의미요소는 입 구(口)이다.

    하나의 입을 나타낸다. 한 입으로 축복하기도 하고 저주하기도 한다.

 

저주(咀呪, curse; execration)

한자로는 저주(咀呪)는 이는 '남의 불행이나 액운을 기원하는 말'이다.
타인에게 직접적인 위해(危害)가 불가능할 때, 우회적으로 위협하는 방식을 말한다.  
('씹을 저' '씹다')와 (呪는 '빌 주', '빌다', '저주하다', '방자질하다', (呪文의 준말).    
      咀 = 口(입 구)는 말하는 것,  ('또 차', '또, 또한, 우선, 장차, 구차하다')로 구성된 글자이다.
      ('또 차')는 조상이나 신에게 바칠 고기를  그릇 위에 겹겹이 쌓은 모양이다. 
 (입구) + (입구) + 儿(어진사람인)이다.
    형(兄), 먼저 '형(兄)', '맏' 이를 뜻하고, 형(兄)은 아우들을 말(口)로 타이르고 이끄는 사람(儿)이다.
    둘째로는 무슨 일이 있을 때 대표로 입을 여는 사람이다.
    "형제(兄弟)"는 남녀에 상관없이 형과 아우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