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왜 바울은 허물과 죄로 구분했을까?

[明泉] 맑은 샘물 2022. 12. 29. 23:18

세상에 죄의 종류가 참 많습니다.

1)아삼(אָשָׁם) : 위반 죄(레위기나 민수기 그리고 에스겔서 중에서도 성전/제사 예전에 주로 사용)
=> ‘위반행위’(침범, 침입/ 내부로)
2)라(רַע) : 파멸의 죄, 폐허로 만드는 죄(원죄)
3)에베르(עֶוֶל) : 정당하지 못한 죄
4)파솨(פָשַׁע) : 반역 죄(간혹 ‘허물’로 번역)
“주께 범죄한 백성을 용서하시며 주께 범한 그 모든 허물을 사하시고...”(왕상 8:50)
5)아원(עָוֹן) : 저주 받을 죄
“내 죄벌이 너무 중하여 견딜 수 없나이다”(창 4:13)
6)하타(חָטָא) : 벗어난 죄(아삼 죄와 비슷)
=> ‘벗어나는’ 행위(외부로)


1. 엡2:1 허물(파랍토마)죄(하마르티아)
바울은 에베소서와 로마서에서 파랍토마와 하르마티아를 사용한다.
파랍토마는 우리 성경에 "범죄"(행위)강조, 하마르티아 우리 성경에 "죄"혹은 "범죄"로 번역

1.파랍토마(G3900: παράπτωμα : 죄, 범죄, 실수) '곁에 떨어짐', '진리나 정도에서 벗어남 또는 이탈함', '실수, 잘못, 오해, 실책, 범죄, 잘못'을 의미한다. 1)구약성경에서 <죄>를 나타내는 여러 단어 중에 하나로 사용 2)<치명적으로 중대한 결과를 가져오는 고의적 행동>을 강하게 강조하는데 사용. (오직 롬 5:20에서만 이것은 보편적인 사실에 대해 사용됨) 3)비유적으로 사람을 타락시키고 하나님이 그에게 주신 지위를 상실하도록 만드는 행동을 의미, 직접적으로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쳐 최후 심판 때에 하나님의 심판하시는 기기준이됨. 4)따라서 인간은 실패한 것을 바로 잡도록 도움 받아야 함(갈 6:1). 5)태초에 행해졌던 최초의 죄의 행동(롬 5:15 이하)은 일련의 인류에게 많은 죄와 화를 초래(롬 5:18; 롬 5:20). 심지어 <죽음(사망)>을 초래(롬 5:15-17 이하). 그 결과로 인간은 육체적인 죽음 이전에 조차 사망의 권세 아래에 있게 됨(엡 2:1; 엡 2:5; 골 2:13). 6)그리스도는 우리 <죄>를 용서받게 하기 위하여(고후 5:19; 엡 1:7; 골 2:13) 스스로 자신을 사망에 넘겨진바 되심(롬 4:25). 7)허물 “침입 금지”에서 사용된 “트레스페싱(trespassing)” 번역하는데, 근본적 뜻은 "완전하지 못하고 흠이 있음(결함, fault)”. 문자적으로 '정로'(正路)에서 떨어지다'라는 의미로 부주의하여 진리에서 떠나는 것이나 잘못된 경향성을 가리킴. 8)이처럼 성경은 선한 목적을 위해 창조하신 하나님의 질서를 벗어난 상태를 “죄"라고 합니다. 즉, 거짓행위. 지정된 길에서 이탈함, 하지 말아야 할 것을 하는 것(악을 행하는 것) 365가지를 의미합니다. 주로 대신(對神)관계 계명(십계명/제1-4계명)을 어길 때인데, 속죄제를 드리게 했습니다.
■ '죄(罪, 하마르티아)'는 sin으로 번역. 1)오점을 남기는 파랍토마(G3900: παράπτωμα :죄, 범죄, 실수) '곁에 떨어짐', '진리나 정도에서 벗어남 또는 이탈함', '실수, 잘못, 오해, 실책, 범죄, 잘못'을 의미한다. 행위, 표적을 맞추지 못함, 즉 마땅히 해야할 것을 하지 않는 것, 곧 선을 행치 않는 것으로 248가지(사람의 뼈마디 숫자와 동일). 2)하마르티아는 문자적으로 '과녘에서 벗어나다'는 의미. 하나님께서 제시제시하신 삶의 목표를 정확히 맞추지 못한 모든 행위를 가리킴. 3)죄는 주로 대인(對人)관계 계명(십계명/ 제5-10계명)을 어길 때는 속건제를 드림/ 허물건(愆) 5) '속건제'라는 원어(아솸)는 '죄책'(guilt) 즉 죄에 대한 법적 책임 곧 죗 값을 의미. 6)속건제(贖愆祭)/ 우리의 무거운 죄짐은 예수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제거되었다. 우리는 죄로부터, 죄의형벌과 공포로부터 자유케 되었다.
베들레헴성경

파랍토마(범죄,허물)가 롬 5:15-20에 6번 사용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