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혹시 나도 "성격 장애"는 없는가?

[明泉] 맑은 샘물 2023. 12. 16. 19:34

외과의사 수술 전 위생상태 점검하듯, 정신과 의사도 “마음건강 수시로 살펴야”
미국 Pamela L. Wible 정신과 전문의는 최근 미국 의료전문지 medscape에 실은 기고문을 통해 "정신과 의사들 역시 일반 성인과 비슷한 이유로 우울증을 경험한다"고 답했다(Doctors and Depression: Suffering in Silence).
배우자 문제, 재정난의 위기, 유년시절 트라우마, 가족병력, 은퇴 고민, 자기건강에 소홀함 등 다양한 원인으로 정신적 압박을 받는다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의사와 환자와의 관계를 넘어, 사회적 고립으로 인해 찾아오는 우울 증상이 가장 심했다.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2922

전문직 종사자들에게도 생기는 병이다. 이러한 결과를 놓고 보면 누구에게나 있을 법하지 않은가.
성격(인격)장애 자가진단

성격장애 진단검사 / PDDS · (Personality Disorder Diagnostic Scale)
http://www.savealcoholics.org/?page_id=541


누구나 생길 수 있는

누구나 하나씩은 상처를 안고 살아간다. 특히 유년기에 받은 상처는 성인이 되어서도 여전히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이 정서적 심리적 억압이나 학대, 정신적 마음의 상처이다.
성인아이란 일차적으로 역기능 가정에서 자라난 사람을 가리킨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누구나 성장기의 환경에서나 혹은 학교생활에서 혹은 성인이 되어서 조직적으로 무시나 왕따, 따돌림으로 입은 상처를 치유받지 못하면 혼자 앓다가 마음의 질병으로 확장된다.

경계선 성격장애 - 나무위키

성격장애의 일종이다. 정서, 행동, 대인관계 등에서 극히 변덕스럽고 예측이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허무감과 극단적인 감정 사이를 오가며, 자신의 행동에 대한 자제력이 없고, 자기 파괴적이

namu.wiki


경계선 성격장애
(境界線 性格障礙,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혹은 경계성 인격장애(境界性 人格障礙)

우리나라의 우울증 환자의 경우 30~40%가 경계선 인격장애를, 심리적인 고통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경계성 인격장애 성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은 사실이다.
경계선 인격장애 또는 정서불안 성격장애(境界線人格障碍,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 또는 emotionally unstable personality disorder)는 정서 · 행동 · 대인관계가 매우 불안정하고 변동이 심한 이상 성격으로 감정의 기복이 심한 인격 장애를 말한다.

경계선 인격장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계선 인격장애 또는 정서불안 성격장애(境界線人格障碍, 영어: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 또는 emotionally unstable personality disorder)는 정서·행동·대인관계가 매우 불안정하고 변동이 심한 이상

ko.m.wikipedia.org


1. 성격장애의 일종
정서, 행동, 대인관계 등에서 극히 변덕스럽고 예측이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허무감과 극단적인 감정 사이를 오가며, 자신의 행동에 대한 자제력이 없고, 자기 파괴적이며, 타인을 쉽게 믿다가 쉽게 상처받기를 반복한다.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이 까다로워하는 성격장애 중 하나이다. 각종의 다른 정신병들로 오진되는, 혹은 저들 정신병 중 하나 이상과 같이 발견되는 일도 꽤 많다.
이러한 질환은 위험한 성격장애인 데다가 이 성격장애가 다른 정신질환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경계선 성격장애》의 진단은 다른 대부분의 정신병의 진단에 우선하며, 특히 <성격장애>의 경우엔 경계선 성격장애가 진단되는 경우 다른 모든 성격장애보다 먼저 치료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문헌까지 있다.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은 자신이 세상으로부터 피해를 받고 있는 입장이라 생각하며, 마음 속 깊은 곳을 들여다보면 매우 <여린 마음씨>를 가지고 있으나, 그 여린 마음씨를 감추기 위해 자신과 타인 모두에게 <극도의 폭력성>을 보이므로 위험한 병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경계선 인격장애는 사회적 가면이 발달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주변인뿐만 아니라 특히 '연인'까지도 이들의 사회적 가면에 속아서 나중에서야 자신이 반쪽짜리 진실만 알고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기도 한다.
자신의
과도한 <감정표현과 집착과 불안>에 의해 필연적으로 끊임없이 관계가 어그러지거나 파국을 끊임없이 겪는데도 불구하고, 그 근본적인 원인을 자신의 내적 결핍과 집착에서 온다는 사실을 끊임없이 자기부정 하기 때문이다.
상대방에게 좋은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 서슴없이 거짓말을 하거나 마음에 없는 말과 행동을 꾸며대며, 자신의 감정이 노출되어서 상대방이 떠날 것 같은 상황이 되면 이를 붙잡기 위해서 그 어떤 극단적인 행동도 서슴없이 행한다.

매년 약 1.6%의 환자들이 경계선 인격장애를 진단받는다.
BPD는 남성과 여성에서 똑같이 발생하지만 여성은 남성보다 치료를 받거나 병원을 찾는 경향이 더 크다보니 진단률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3배 높으며 나이 든 사람일수록 낮게 진단된다. 절반 가량의 환자들이 10년 이상의 치료를 받는다. 병명에 대해 논란이 있는데 '경계선'이라는 단어가 사회적인 낙인 찍기를 부추긴다는 이유에서다
다른 심리장애처럼 경계선성격장애의 원인은 복잡하고 완전히 규명되지 못하였다.
경계선성격장애와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가 관련 있을 수 있다는 사실도 보인다.
1)
연구자들은 어렸을 적 트라우마(trauma)가 기여요인(contributing factor)이 될 수 있다는 것에 대개 동의하지만, 트라우마 이외에 선천적 두뇌 기형, 유전, 신경생물학적 요소, 환경 요소 등의 원인요소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이뤄지지 않았다.
2)
사회적 요소로는 초기 발달과정에서 가족, 친구, 다른 아동들과 어떤 상호작용을 해왔는지 등이 포함된다.
3) 심리적 요소로는 환경에 의하여 형성된 개인 성격, 기질,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 능력 등이 있다. 각각의 요소들이 다양하게 존재한다는 것은 경계선성격장애를 일으키는 다양한 요소가 있음을 시사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