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08. 감사는 기도의 양념이 아닙니다.

[明泉] 맑은 샘물 2023. 11. 21. 19:23

"기도에 감사함으로"

왜 기도(를)에 감사함으로 해야 할까?
감사는 기도에 양념이라 생각했는데....,
감사는 양념이 아니라 기도 자체요,
기도를 타오르게 하는 연료입니다.
"
너희 구할 것을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
늘 감사할 일이 있다면 기도가 쉬울텐데,
그러나 감사할 일이 없다고 느껴질 때
무엇을 생각하며 기도할 수 있을까?


기도에 전념(專念)하라

* 오로지 한 가지 일에 마음을 쓰는 것.

바울 사도는 기도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기도를 계속해야 할 것에 대해 강조하고 있습니다.
바울이 사용한 단어는 무엇입니까?
먼저 기도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진력(盡力)하라"

진력(盡力)은 이 말은 꼭 어떤 한 가지 일에만 힘을 쏟는다는 뜻이 아니라 어떤 일을 위해 가지고 있는 힘을 다해서 노력한다는 뜻입니다.

‘다할 진(盡), 힘력(力)’으로  ‘있는 힘을 다하다’라는 뜻입니다. 우리가 종종 쓰는 표현중 "젖 먹던 힘까지 다하라"는 말을 듣지요.

하나님을 바라보라(προσευχῇ, 프로슈케)

우선 기도란 말은 '프로슈케(προσευχῇ)'라는 헬라어로서 '하나님을 바라본다', '하나님께 향한다'는 뜻입니다.
‘기도에 항상 힘쓰며’(롬 12:12)
προσευχῇ προσκαρτεροῦντες
(프로슈케 프로스카르테룬테스)
또 기도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기도를 계속하고’(골 4:2)
προσευχῇ προσκαρτερεῖτε
(프로슈케 프로스카르테레이테)

두 성경구절은 한글번역이 조금 다르지만 원문에는 같은 단어가 쓰였습니다.
기도’는 προσευχῇ(프로슈케)이고,
전념하다’는 προσκαρτερεω(프로스카르테레오) 가 동일합니다. προσκαρτερεω(프로스카르테레오) : ‘계속하다, 지속하다’라는 뜻도 있지만, 여기에는 ‘전념하다, 진력하다’라는 뜻이 더 잘 어울립니다.
바울은 이어서 “기도를 항상 힘쓰고 기도에 감사함으로 깨어 있으라”(골 4:2)고 권면보다 명령입니다.

Τῇ προσευχῇ προσκαρτερεῖτε, γρηγοροῦντες ἐν αὐτῇ ἐν εὐχαριστίᾳ,”
“Continue steadfastly in prayer, watching therein with thanksgiving;”

힘쓰다(G4342: προσκαρτερέω, 프로스카르테레오) : 머무르다, 어떤 것을 굳게 계속하다, 충성하다, ~을 굳게 계속하다, 계속 ~ 안에 있다.
전치사 ‘프로스’(προσ)는 ‘~하는 동안’과 “카르테레오”(καρτερέω)는 ‘참다, 견디다’는 뜻의 합성어이다.
‘~을 참으며 지속하다, 계속 노력하다, 변함없이 충성하다’이다.
그러므로 이 단어에서 신약 교회의 활력과 능력의 중요한 한 측면이 표현되어 있음이 발견된다.


'기도'라는 말과 '간구'라는 단어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1. '기도'의 의미

우선 기도란 말은 ‘프로슈케(προσευχῇ)’라는 헬라어로서 '하나님을 바라본다', '하나님께 향한다'는 뜻이다.
기도란 먼저 우리의 눈이 하나님께로 향하고,
내 심령이 하나님께로 온전히 향하는 것입니다.

https://youtu.be/ri_2Mqo1y0U?si=hv2qKt4u2TU2poEf

그때마다 우리 시선을 어디로 향하여야 할까요?
그렇습니다.
전능하신 하나님,
문제보다 크신 하나님,
문제의 해답을 갖고 계신 하나님을 바라보는 것입니다.
이러한 자세를 갖고 있는 사람이 비로소 간구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기도하고 간구할 때 하나님께서 도우시는 역사가 일어납니다.

무엇을 바라보십니까?
문제입니까?
하나님입니까?

그렇습니다.
우리의 생각에도 육신의 생각이 있고, 영의 생각이 있습니다(로마서 8:5~6)
그러므로 무언가 생각하려고 할 때 생각이, 육신이 아니라 영의 생각을 먼저 하게 해야 합니다. 생각이 걱정하도록 버려두지 말고, 그 생각의 고삐를 잡아 먼저 말씀을 묵상하고 그 말씀을 따르게 하는 것입니다.

5 육신을 따르는 자는 육신의 일을, 영을 따르는 자는 영의 일을 생각하나니
6 육신의 생각은 사망이요 영의 생각은 생명과 평안이니라


2. '간구'의 의미

헬라어 ‘데에세이스(δεήσεις)’는 '필요한 것을 요청하다, 도움을 요청하다'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우리들이 세상을 살면서 만나는 수많은 문제들, 우리가 그것을 바라볼 때, 이런저런 세상적 생각들과 방법들을 찾고 동원해서 해결하고자 노력합니다.  
그러나 더 강력한 방법이 있습니다.

빌립보서 4:6-7
《아무것도》
염려하지 말고
《오직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
너희 구할 것을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 그리하면 모든 지각에 뛰어난 하나님의 평강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 마음과 생각을 지키시리라
https://youtu.be/CWM7iCY2Sf8?si=GJMfNau12rt2GVsz

우리의 구할 것을 감사함으로
"감사"도 기도의 방법입니다.
기도는 마지못해 하거나 억지가 아닙니다.
감사는 주신 은혜, 받은 사랑을 기억하는 것입니다.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는 것이 기도입니다.
감사는 선포입니다.
감사는 확신입니다.
감사는 하나님을 신뢰하고,
의뢰하는 마음입니다.
https://youtu.be/hF6p9TVVPRs?si=cVs2-dWgaj8jWVoT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