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한자는 원리만 알면 쉬워요

[明泉] 맑은 샘물 2023. 8. 3. 23:53

흩어진 민족과 그들의 언어

창세기 바벨탑 사건으로 언어(구음: 입으로 발음)가 혼잡해지고 흩어져 살아가된 된 인류는 각각의 언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창세기 11:1 온 땅의 구음(口音)이 하나이요 언어(言語)가 하나이었더라
창세기 11:7 자, 우리가 내려가서 거기서 그들의 언어(言語)를 혼잡(混雜)케 하여 그들로 서로 알아듣지 못하게 하자 하시고
창세기 11:9 그러므로 그 이름을 바벨이라 하니 이는 여호와께서 거기서 온 땅의 언어(言語)를 혼잡(混雜)케 하셨음이라 여호와께서 거기서 그들을 온 지면(地面)에 흩으셨더라

2005년 유엔 조사에 의하면 지구상에 존재하는 언어는 6809개다. 그중 2500개 언어가 사용 인구 1000명 이하로 점점 줄어들고 있고 500여 개 언어는 사용자 50~60명 미만으로 소멸위기에 있다.
《글자》로 표기할 수 없는 《소리》들은 점차 소멸되어 가고 있다. 문자(글자)는 55~56개 정도이고, 이 중 문자를 사용하는 민족은 전체언어의 약 10%인 4백여 민족이다.
세계 220여 개 나라 중 자국어를 가진 나라는 28개국밖에 되지 않는다. 자기 나라 고유 문자는 한글, 한자, 로마, 아라비아, 인도문자, 에티오피아문자.... 한국어(한글)는 지구상에 쓰이고 있는 수천 가지 언어 중 하나이다. 각 나라별 인구에 따라 중국어, 힌디어, 스페인어, 영어, 아랍어, 벵골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일본어, 독일어, 프랑스어, 말레이인도네시아어 등에 이어 사용 인구수로 13번째를 차지하는 언어다. 그만큼 한글의 영향력은 세계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전 세계 220여 개 나라 중 자국어를 가진 나라는 28개국밖에 되지 않는다. 자기 나라 고유 문자는 한글, 한자, 로마, 아라비아, 인도문자, 에티오피아문자 등 6개뿐이다.
https://m.mk.co.kr/news/economy/4637282

[한글의 우수성] 민족 하나로 묶는 한글, 핵무기보다 강해 - 매일경제

소통도구 넘어 민족의 얼이 담겨…자국어 있기 때문에 통일도 가능자ㆍ모음 24개 음소만 가지고 표현, 컴퓨터 입력 쉬워 IT시대에 적합

www.mk.co.kr


토속어 한글과 한자문화

봄, 여름, 가을, 겨울 같은 순수 우리말(소리)이 있어왔지만, 글자는 없었다. 우리들의 조상인 동이족이 만들어 사용하던 것을 우리도 함께 써 왔던 것이다. 또한 인도문명의 영향이 많이 있다. 아마도 삼국시대에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직접 인도의 문화가 우리나라에 끼친 것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심지어 고대 수메르어와 히브리어까지 우리의 언어에 영향을 주었다.
대한민국의 국화(國花)인 무궁화와 사론의 꽃
무궁화의 학술명은 'Hibiseus Syriacus' 즉 '시리아에서 온 꽃'이라는 뜻이다. 영어로 'Rose of Sharon(사론의 장미)라 하였다. 우리가 즐겨 부르는 찬송가 89장은 '사론의 꽃 예수 나의 마음에 거룩하고 아름답게 피소서'라고 가사로 표현했다.
일본은 무궁화를 '무구케'라고 읽고 있다. 시리아는 고대에 앗시리아(앗수르) 제국일 때 북이스라엘 왕국이 멸망당하여 시리아에 포함되었었다.
뿐만 아니라 인사에서도 같은 말로 인사를 한다.
유대인들은 인사할 때 '샬롬(하나님의 평강이)'이라고 한다. 우리가 '안녕하십니까?' '안녕히 가십시오'라고 라고, 어른들이 아랫사람에게 물을 때 '평안한가?' '평안히 가라' 하며 인사한다. 인사에는 이처럼 평안, 평화, 무고하기 바라는 마음을 담아 인사를 한다.
호칭에서 유대인들은 "아비, 아빠, 이모, 인마"라고 부른다. 아버지는 'באָ(아브/아버지)이고 ‘아바', 아람어로는 "아빠(abba)"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에서도 친근감 있게 아이들이 ’ 아빠'라고 부르고 있다. 예수께서는 하나님을 '아바(아빠)'라고 부르셨다(막 14:36). 이전에 어른들이 어린아이들에게 물을 때 ‘아비(아범아)야, 어미야’라 했다.
더구나 글자에서도 많은 부분이 성경적이고 성경이야기를 글자에 담고 있다. 한자가 중국어가 아님을 알아야 한다. 그들이 만든 것이 아니다. 그들도 배워서 쓰고 있는 것이다.
언어는 지배층의 언어이다. 고대중국을 지배하던 소수민족이던 《동이족》은 글자를 만들었다.
갑골문(금문을 거쳐)을 훗날 AD200년경 중국을 최초로 통일한 한족이 세운 국가가 한나라인데, 진시황에게 망하였다.
진나라(기원전 259년 ~ 210년) 진시황은 한자를 통일하였다. 그리고 세워진 후한나라 때에 와서 오늘날의 한자의 설문해자(자전)가 나왔다. 그 후 긴 세월이 지나 1955년 마오쩌둥(모택동)은 사투리를 없애고 북경어를 표준발음으로 하고, 간자체로 정리하였다.
그러면 한글은 어떠한가?
순수 우리말인 봄, 여름, 가을, 겨울 같은 순수 우리말(소리) 소리를 한자로도 병행하여 春夏秋冬(춘하추동)이라 쓰게 되었다.
순우리말은 한글이전에는 말과 소리(표음문자)는 있었지만, 표기할 방법이 없었다.
그래서 세종대왕이 문자를 만들고 훈민정음(백성에게 바르게 소리 내는 방법)을 만들게 되었다.
한글이 너무나 정교하고 과학적이어서 세계가 놀란다. 그러나 우리의 말에는 여전히 50% 이상이 한자에서 뜻을 가져와 쓰고 있다.  
2002년 국립국어연구원이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한 결과를 발표하였는데, 우리말이 54%, 한자어 35%, 외래어가 2%였다.  여전히 한자어로 쓰는 것들이 많다.
같은 글자이지만, 한자로는 다른 글자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한글로 표기하기 어려운 글자들은 한자를 익혀두면 도움이 된다.

한자의 이해(理解)

한자는 중국에서 가장 많이 쓰기에 중국어라고 생각하면 잘못이다. 단지 한자를 사용하는 중국인 인구가 많을 뿐이다. 중국도 그 사실을 알고 있다. 중국대륙에 한족이 92% 이상이지만, 그들이 만들었다는 근거도 없다는 것을 인정한다.
한자는 중국, 한국, 일본이 같이 쓰고 있다.
동일한 글자이지만, 나라마다 발음이 다르고 종종 의미가 다른 것도 있다.
한자는 <表意文字>로 중국에서는 성조로 읽는다. 
이처럼 한자는 각각의 글자마다 각각의 의미와 뜻을 나타내는 문자이다.

漢字(한자)를 만드는 原理

한자의 조자원리(造字原는 다음 4가지가 있다.
"상형, 지사, 회의, 형성"이 있고, 그것을 활용하는 방법으로는 는 "전주, 가차"이다.
1) 상형(象形) : 사물 형태나 형상을 묘사
   예) 日(일), 月(월), 山(산), 川(천) 등
2) 지사(指事) : 도형적 기호 사용추상적으로 지시
  예) 一(일), 二(이), 上(상), 下(하), 本(본) 등
3) 회의(會意)는 글자를 결합하여 새로운 뜻으로
  예) 炎(염), 林(림), 明(명), 信(신), 武(무) 등
4) 형성(形聲): 뜻 부분[形]과 음 부분[聲]으로 결합
  예) [변] 淸, 媒 / [방] 頭, 勉 / [두] 草, 雪 / [발] 慈, 盛 / [몸] 間, 國 등
5) 전주(轉注) : 본래 의미에서 유추, 파생, 전용
  예) 老(노), 考(고),  樂(락), 樂(악) 등
6) 가차(假借) : 음이나 형태 등을 빌려서 쓴 글자
  예) 弗(불),  亞細亞(아세아), 외국어 표기법

한자(漢字)의 구성 形(형), 音(음), 義(의)

3요소 :  1) 글자형태  2) 소리 3) 뜻
예를 들어 人(인/사람)이다.
漢字(한자)의 部首(부수) : 글자의 형태에 따라 상하좌우에 붙여 글자의 뜻을 나타낸다.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글자인 숫자를 살펴보자.
'一, 二, 三, 四, 五, 十'을 '壹, 貳, 參, 肆, 伍, 拾'
'一 땅을 의미한다,
土 흙토는 땅 + 열십(혹은 흙과 땅 위로丨(뚫을 곤)이다. 온갖 것들이 땅에서 나온다. 生 땅에서 (丿삐침별) 삐집고 올라오는 것, 생명, 날 생이다.
하늘과 세상과 땅을 연결하여 다스리는 사람을 임금, 왕(王)이며, 丶部(불똥주·점주부)를 붙여 주인, 임금 주(主)로 쓴다.
二는 땅과 그 위에 있는 것, 三 땅과 사물과 하늘, 四는 네 귀퉁이와 그 안에 팔방으로 연결되어 있는 길 사방을 나타내고,
五 땅과 하늘을 연결하는 힘, 사람 손가락의 다섯이고 힘과 하늘의 재능을 사용한다.
.....  열십十(좌우와 땅과 하늘이니 모든 것을 합한 것'이다. 완성을 의미한다.
숫자의 오기나 혼돈, 변형을 막고자 문제를 일으킬만한 글자는 바꾸어 쓴다.
1= '壹, 2=貳, 3=參, 4=肆, 5= 伍, 10= 拾'
http://hanja.pe.kr/han_1/h1_c02.ht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