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심설교 : 회개에 관한 교리문답서
<회심>을 설교를 하라
신앙고백서 제15장에 있는 “생명에 이르는 회개”를 설교한다고 하자.
설교 제목을 붙인다면
" 하나님의 은혜로서의 회개에 이르려면"
" ~에 이르는 길"
"~를 사모하라"
"~를 체험하라" 등으로 할 수 있다.
1. 하나님의 은혜로서의 회개(행 11:18, 슥 12:10)
1)생명에 이르는 회개는 복음(말씀)으로 말미암는 은혜이다(행 11:18; 슥 12:10).
2)이 회개의 교리는 그리스도 신앙의 교리와 마찬가지로 복음전도자들에 의해 선포되어야 한다(행 20:21; 막 1:15; 눅 24:47).
(요약)
> 진정한 회개는 하나님으로 말미암는 은혜
> 말씀 사역자를 통해 선포되어 할 참된 회개
2. 회개: 1)죄를 떠나 하나님께로 돌아감(겔 36:31, 욜 2:12, 시 51:4 등),
2)하나님의 계명에 순종(왕하 23:25, 시 119:6)
죄인은 생명에 이르는 회개로 말미암아 자신의 죄가 위험할 뿐 아니라 더럽고 추악하여 하나님의 거룩하신 성품과 의로운 율법에 위배됨을 깨닫게 된다.
또한 그리스도 안에서 회개하는 자들에게 베푸시는 하나님의 긍휼을 깨닫게 된다.
따라서 자신의 죄를 비통하게 여겨 그 죄를 미워하게 되며 모든 죄에서 떠나 하나님께로 향하게 된다(겔 18:30,31, 36:31; 시 51:4, 119:128; 사 30:22; 렘 31:18,19; 욜 2:12,13; 암 5:15; 고후 7:11).
이로써 성도는 하나님의 모든 계명들을 좇아 그와 동행하게 되는 것이다(왕하 23:25; 시 119:6,59,106; 누구 1:6).
(요약)
> 회개를 통해 자신의 죄를 깨닫는 유익
> 회개를 통해 하나님의 긍휼하심을 깨닫게 됨
> 자신의 죄를 미워하고 하나님을 향하는 은혜를 누리게 됨
3. 회개와 사죄의 근거(겔 36:31-32, 엡 1:7)
- 중생은 신자의 무의식 안에서 일어나는 성령의 사역
- 회개는 중생을 근거로 신자 안에서 성령이 그의 의식 안에서 변화를 일으키시는 사역
1)회개의 절대적 필요성(눅 13:3, 렘 17:30-31),
2)회개가 죄에 대한 속상(贖償)의 근거가 될 수 없으며 죄인이 용서받는 근본적인 원인이 될 수 없다(겔 16:61-63, 36:31,32).
<죄 용서>는 오직 그리스도 안에 있는 그의 공로로 말미암아 값없이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 행위이다(엡 1:7; 호 14:2,4; 롬 3:24).
그러나 회개 없이는 어느 누구도 <죄 용서>를 기대할 수 없음. 그러므로 회개는 모든 죄인들에게 필요불가결한 요소이다(행 17:30,31; 눅 13:3,5).
(요약)
> 회개가 죄 용서의 조건이나 원인이 될 수 없음
> 회개는 모든 성도들에게 요구되는 필요불가결한 요소
4. 죄의 형벌의 필연성(마 12:36, 롬 5:12)
회개와 죄 사함(사 1:18, 롬 8:1)
아무리 사소하고 작은 죄라 할지라도 그것이 정죄(定罪)¹를 면케 해 주는 것이 아니다(마 12:36; 롬 5:12, 6:23).
이와 마찬가지로 아무리 중하고 큰 죄라 할지라도 그것을 진정으로 회개하는 자에게 정죄를 가져오지 못한다(사 1:16-18, 55:7; 롬 8:1).
(요약)
> 회개에 있어서 죄의 경중이 있는 것이 아님
>모든 죄는 회개의 대상임
5. “진정한 회개”(눅 19:8),
사람들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회개하는 것으로 만족해서는 안 된다.
자기가 지은 죄들을 낱낱이 구체적으로 힘써 회개하는 것이 모든 성도들의 의무이다(눅 19:8; 시 19:13; 딤전 1:13,15).
(요약)
> 일반적인 회개로 만족해서는 안 됨
> 구체적인 죄들을 낱낱이 고백해야 함
6. “죄의 고백과 용서의 간구”(시 32:5),
“회개와 사랑의 보상”(고후 2:8)
모든 사람은 자신의 죄를 개인적으로 하나님께 고백하면서 그에 대한 용서를 간구해야 한다(시 32:5,6, 51:4,5,7,9,14).
그렇게 하면서 죄들을 버릴 때 하나님의 긍휼을 입게 된다(잠 28:13; 요일 1:9).
그러므로 누구든지 형제에게 상처를 주었거나 교회에 해악을 끼쳤을 경우 사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자기의 잘못을 고백하고 하나님께 회개한 모습을 보여주어야 하며, 교회 공동체와 연관된 문제에 대해서는 공적으로 죄를 자백한 후 회개를 선포해야 한다(약 5:16; 수 7:19; 시 51:2; 눅 17:3,4).
그것을 통해 상처를 받았던 당사자는 그 회개한 자와 화해하여 그를 사랑으로 용납해야 한다(고후 2:8).
(요약)
>하나님 앞에서 개별적인 고백의 필요성
> 형제와 교회 앞에서의 고백의 필요성
> 고백을 통한 회복의 요구
> 진정한 고백이 없는 회개는 종교적 위선
정죄(定罪, condemn)로마서 8:1-2
1.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 2.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성령의 법이 죄와 사망의 법에서 너를 해방하였음이라
정죄함이 없다 : 헬라어로 '카타크리마'(κατάκριμα)
<저주의 판결> 법정에서 최종적으로 판사가 판결할 때에 어떠한 죄로 인하여 사형수임을 구형하는 행위
그가 어떤 죄가 사실로 인정되어 그 죄값으로 마땅히 치루어야 할 댓가로 <죽어야 할 형벌>에 처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정죄함이 없다"는 말씀은, 그리스도의 공로를 믿는 자들은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겨졌기 때문에 저주의 최종 판결인 영원한 사망을 구형받지 않는다"라는 말이다.
즉 "심판에서 면죄되었다. 심판이 없다. 면죄되었다.
최종판결에서 무죄로 선언되다"는 의미로, 사형을 언도받을 필요가 없다는 말입니다.